diff options
Diffstat (limited to 'etc/tutorials/TUTORIAL.ko')
-rw-r--r-- | etc/tutorials/TUTORIAL.ko | 1504 |
1 files changed, 752 insertions, 752 deletions
diff --git a/etc/tutorials/TUTORIAL.ko b/etc/tutorials/TUTORIAL.ko index 78ea63ff9e0..9aad280bf96 100644 --- a/etc/tutorials/TUTORIAL.ko +++ b/etc/tutorials/TUTORIAL.ko @@ -1,1002 +1,1002 @@ -$(C@L8F=:(B(Emacs) $(CAvD'<-@T4O4Y(B. -$(C3!?!4B(B $(C:9;g(B $(CA60G@L(B -$(C@V=@4O4Y(B. $(CAv1](B $(C@P0m(B $(C@V4B(B $(C@L(B $(C1[@:(B $(C@L8F=:(B(Emacs) $(CAvD'<-@T4O4Y(B. - -$(C@L8F=:(B $(C8m7I5i@:(B $(C4k03(B $(CA&>n<h(B (CTRL$(C@L3*(B CTL$(C@L6s0m55(B $(CG%=C(B) $(CH$@:(B -META$(C<h(B (EDIT$(C@L3*(B ALT$(C6s0m55(B $(CG%=C(B)$(C8&(B $(C;g?kGU4O4Y(B. $(C@L71(B $(C1[<h8&(B $(C8E9x(B $(C4Y(B -$(C>21b(B $(C:84Y4B(B $(C?l8.4B(B $(C4Y@=0z(B $(C00@:(B $(C>`=D(B $(CG%Gv@;(B $(C>21b7N(B $(CGU=C4Y(B: - - C-<$(C9.@Z(B> $(CA&>n<h8&(B $(C4)8%(B $(CC$(B <$(C9.@Z(B> $(C1[<h8&(B $(CD(4O4Y(B. $(CAo(B, C-f$(C4B(B $(CA&>n<h8&(B - $(C4)8%(B $(C;sEB?!<-(B f $(C1[<h8&(B $(CD!4B(B $(C0M@;(B $(C8;GU4O4Y(B. - M-<$(C9.@Z(B> META$(C<h3*(B EDIT$(C<h(B $(CH$@:(B $(C13C<<h(B(ALT)$(C8&(B $(C4)8%(B $(CC$(B <$(C9.@Z(B> $(C1[<h8&(B - $(CD(4O4Y(B. META$(C<h(B, EDIT$(C<h(B $(CH$@:(B $(C13C<<h0!(B $(C>x@88i(B $(C3*?H<h(B(ESC)$(C8&(B - $(C4-764Y(B $(C3u@:(B $(CHD(B <$(C9.@Z(B> $(C1[<h8&(B $(CD(4O4Y(B. $(C3*?H<h4B(B <ESC>$(C@L6s0m(B - $(C>21b7N(B $(CGU4O4Y(B. - -$(C@/@G(B: C-x C-c$(C8&(B $(CD!8i(B $(C@L8F=:8&(B $(CA>7aGR(B $(C<v(B $(C@V=@4O4Y(B. ($(C5N(B $(C9.@Z(B.) -$(C?^BJ(B $(C0!@e@Z8.?!(B $(C@V4B(B $(C9.@Z(B ">>"$(C4B(B $(C56@Z0!(B $(C8m7I@;(B $(C=GG`GX(B $(C:8557O(B -$(CGO0m@Z(B $(CGT@;(B $(CAv=CGU4O4Y(B. $(C?98&(B $(C5i>n(B: -<<help-with-tutorial$(C@L(B $(C=C@[GO8i<-(B $(C?)1b?!(B $(C:s(B $(CAY@L(B $(C3"?vA3@=(B>> ->> $(C4Y@=(B $(CH-8i@87N(B $(C?rAw@L1b(B $(C@'GX<-4B(B C-v ($(C4Y@=(B $(CH-8i(B $(C:81b(B)$(C8&(B $(CD(4O4Y(B. - ($(CGX(B $(C:8=J=C?@(B. $(CA&>n<h8&(B $(C4)8%(B $(CC$(B v $(C1[<h8&(B $(CD!8i(B $(C5K4O4Y(B.) - $(CAv1]:NEM4B(B $(CGQ(B $(CH-8i@;(B $(C4Y(B $(C@P>z@;(B $(C6'864Y(B $(C@L780T(B $(CGX>_(B $(CGU4O4Y(B. - -$(CGQ(B $(CH-8i?!<-(B $(C4Y8%(B $(CH-8i@87N(B $(C?rAw@O(B $(C6'(B $(C5N(B $(CAY@L(B $(C0cD#4Y4B(B $(C0M@;(B -$(C@/@GGO=J=C?@(B; $(C@L4B(B $(CGQ(B $(C9.@e@;(B $(C0h<SGX<-(B $(C@P@;(B $(C<v(B $(C@V557O(B $(CGO1b(B -$(C@'GT@T4O4Y(B. - -$(CC99xB07N(B $(C@MGt>_(B $(CGO4B(B $(C0M@:(B $(C9.@e@G(B $(CGQ(B $(C0w?!<-(B $(C4Y8%(B $(C0w@87N(B $(C?rAw@L4B(B -$(C0M@T4O4Y(B. C-v$(C7N(B $(CGQ(B $(CH-8i@;(B $(C>UBJ@87N(B $(C?rAw@L4B(B $(C0M@:(B $(C@L9L(B $(C>K0m(B $(C@V=@4O4Y(B. -$(C5^BJ@87N(B $(CGQ(B $(CH-8i@;(B $(C?rAw@L1b(B $(C@'GX<-4B(B M-v$(C8&(B (META$(C<h8&(B $(C4)8%C$(B v $(C1[<h8&(B -$(CD!0E3*(B, META$(C<h3*(B EDIT$(C<h(B, $(CH$@:(B $(C13C<<h0!(B $(C>x@;(B $(C0f?l(B <ESC>v$(C8&(B $(CD(4O4Y(B). - ->> $(C8n(B $(C9x(B M-v$(C?M(B C-v$(C8&(B $(C9x0%>F(B $(CCD(B $(C:8=J=C?@(B. - - -* $(C?d>`(B +이맥스(Emacs) 지침서입니다. +끝에는 복사 조건이 +있습니다. 지금 읽고 있는 이 글은 이맥스(Emacs) 지침서입니다. + +이맥스 명령들은 대개 제어쇠 (CTRL이나 CTL이라고도 표시) 혹은 +META쇠 (EDIT이나 ALT라고도 표시)를 사용합니다. 이런 글쇠를 매번 다 +쓰기 보다는 우리는 다음과 같은 약식 표현을 쓰기로 합시다: + + C-<문자> 제어쇠를 누른 채 <문자> 글쇠를 칩니다. 즉, C-f는 제어쇠를 + 누른 상태에서 f 글쇠를 치는 것을 말합니다. + M-<문자> META쇠나 EDIT쇠 혹은 교체쇠(ALT)를 누른 채 <문자> 글쇠를 + 칩니다. META쇠, EDIT쇠 혹은 교체쇠가 없으면 나옴쇠(ESC)를 + 눌렀다 놓은 후 <문자> 글쇠를 칩니다. 나옴쇠는 <ESC>이라고 + 쓰기로 합니다. + +유의: C-x C-c를 치면 이맥스를 종료할 수 있습니다. (두 문자.) +왼쪽 가장자리에 있는 문자 ">>"는 독자가 명령을 실행해 보도록 +하고자 함을 지시합니다. 예를 들어: +<<help-with-tutorial이 시작하면서 여기에 빈 줄이 끼워졌음>> +>> 다음 화면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C-v (다음 화면 보기)를 칩니다. + (해 보십시오. 제어쇠를 누른 채 v 글쇠를 치면 됩니다.) + 지금부터는 한 화면을 다 읽었을 때마다 이렇게 해야 합니다. + +한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움직일 때 두 줄이 겹친다는 것을 +유의하십시오; 이는 한 문장을 계속해서 읽을 수 있도록 하기 +위함입니다. + +첫번째로 익혀야 하는 것은 문장의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이는 +것입니다. C-v로 한 화면을 앞쪽으로 움직이는 것은 이미 알고 있습니다. +뒷쪽으로 한 화면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M-v를 (META쇠를 누른채 v 글쇠를 +치거나, META쇠나 EDIT쇠, 혹은 교체쇠가 없을 경우 <ESC>v를 칩니다). + +>> 몇 번 M-v와 C-v를 번갈아 쳐 보십시오. + + +* 요약 ------ -$(C4Y@=@:(B $(C@|C<H-8i@;(B $(C:84B5%(B $(C@/?kGQ(B $(C8m7I5i@T4O4Y(B: +다음은 전체화면을 보는데 유용한 명령들입니다: - C-v $(CGQ(B $(C@|C<(B $(CH-8i@;(B $(C>UBJ@87N(B $(C?rAw@N4Y(B - ESC v $(CGQ(B $(C@|C<(B $(CH-8i@;(B $(C5^BJ@87N(B $(C?rAw@N4Y(B - C-l $(CH-8i@;(B $(CAv?l0m(B $(C8p5g(B $(C1[?y@;(B $(C4Y=C(B $(CH-8i(B $(CG%=CGO8i<-(B - $(C1t:}@L0!(B $(C@V4B(B $(C1[?y@;(B $(CH-8i@G(B $(CA_>S?!(B $(C?@0T(B $(CGQ4Y(B. - ($(CA&>n<h(B-1$(C@L(B $(C>F4O6s(B $(CA&>n<h(B-L$(C@T4O4Y(B.) + C-v 한 전체 화면을 앞쪽으로 움직인다 + ESC v 한 전체 화면을 뒷쪽으로 움직인다 + C-l 화면을 지우고 모든 글월을 다시 화면 표시하면서 + 깜빡이가 있는 글월을 화면의 중앙에 오게 한다. + (제어쇠-1이 아니라 제어쇠-L입니다.) ->> $(C1t9Z@L8&(B $(CC#>F<-(B $(C1W(B $(C0w@G(B $(C1[?y@;(B $(C1b>oGO=J=C?@(B. - $(C1W8.0m4B(B C-l$(C@;(B $(CD!=J=C?@(B. - $(C1t9Z@L8&(B $(C4Y=C(B $(CC#>F<-(B $(C00@:(B $(C1[?y@L(B $(C1t9Z@L@G(B $(C1YC3?!(B $(C@V4B0!8&(B - $(CH.@NGO=J=C?@(B. +>> 깜박이를 찾아서 그 곳의 글월을 기억하십시오. + 그리고는 C-l을 치십시오. + 깜박이를 다시 찾아서 같은 글월이 깜박이의 근처에 있는가를 + 확인하십시오. -* $(C1b:;@{@N(B $(C1t9Z@L@G(B $(CA&>n(B +* 기본적인 깜박이의 제어 ------------------------ -$(CGQ(B $(CH-8i@;(B $(C?rAw@L4B(B $(C0M@:(B $(C@/?kGU4O4Y88(B $(CH-8i@G(B $(CGQ(B $(C1[?y3;?!<-(B $(C>n6;0T(B -$(CA$GXAx(B $(C@e<R7N(B $(C?rAw@O(B $(C<v(B $(C@V0Z=@4O1n(B? +한 화면을 움직이는 것은 유용합니다만 화면의 한 글월내에서 어떻게 +정해진 장소로 움직일 수 있겠습니까? -$(C@L?!4B(B $(C8n0!Av(B $(C9f9}@L(B $(C@V=@4O4Y(B. $(C0!@e(B $(C1Y:;@{@N(B $(C9f9}@:(B C-p, C-b, C-f -$(C1W8.0m(B C-n $(C8m7I@;(B $(C;g?kGO4B(B $(C0M@T4O4Y(B. $(C0"0"@:(B $(CH-8i?!<-(B $(CA$GXAx(B $(C9fGb@87N(B -$(CGO3*@G(B $(C0!7ND-@L3*(B $(CGO3*@G(B $(C<<7ND->?(B $(C1t9Z@L8&(B $(C?rAw@T4O4Y(B. -$(C?)1b?!(B $(C@L(B $(C3W0!Av(B $(C8m7I5i0z(B $(C1W(B $(C?rAw@L4B(B $(C9fGb@;(B $(C:8?)AV4B(B $(CG%0!(B $(C@V=@4O4Y(B. +이에는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C-p, C-b, C-f +그리고 C-n 명령을 사용하는 것입니다. 각각은 화면에서 정해진 방향으로 +하나의 가로칸이나 하나의 세로칸씩 깜박이를 움직입니다. +여기에 이 네가지 명령들과 그 움직이는 방향을 보여주는 표가 있습니다. - $(C5^(B $(CAY(B, C-p + 뒷 줄, C-p : : - $(C5^BJ@87N(B, C-b .... $(CGv@g@G(B $(C1t9Z@L(B $(C@'D!(B .... $(C>UBJ@87N(B, C-f + 뒷쪽으로, C-b .... 현재의 깜박이 위치 .... 앞쪽으로, C-f : : - $(C>U(B $(CAY(B, C-n + 앞 줄, C-n ->> C-n$(C@L3*(B C-p$(C8&(B $(C=a<-(B $(C1t9Z@L8&(B $(C@'(B $(C55G%@G(B $(C0!?n5%(B $(CAY7N(B $(C?rAw@L=J=C?@(B. - $(C1W8.0m4B(B C-l$(C@;(B $(CCD<-(B $(C@L(B $(C55G%0!(B $(CH-8i@G(B $(CA_>S?!(B $(C@'D!GO4BAv8&(B - $(CH.@NGO=J=C?@(B. +>> C-n이나 C-p를 써서 깜박이를 위 도표의 가운데 줄로 움직이십시오. + 그리고는 C-l을 쳐서 이 도표가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지를 + 확인하십시오. -$(C@L(B $(C8m7I5i@:(B $(C1[@Z7N(B $(C1b>oGO4B(B $(C0M@L(B $(C=,?o(B $(C0M@T4O4Y(B: P$(C4B(B previous, N$(C@:(B -next, B$(C4B(B backward, F$(C4B(B forward. $(C@L5i@:(B $(C1b:;@{@N(B $(C1t9Z@L(B $(C@L5?(B -$(C8m7I@87N<-(B, $(CGW;s(B $(C;g?kGO0T(B $(C5I(B $(C0M@L9G7N(B $(CAv1](B $(C4g@e(B $(C8S8.(B $(C<S?!(B $(C@MGt(B $(C5N4B(B -$(C0M@L(B $(CAA=@4O4Y(B. +이 명령들은 글자로 기억하는 것이 쉬울 것입니다: P는 previous, N은 +next, B는 backward, F는 forward. 이들은 기본적인 깜박이 이동 +명령으로서, 항상 사용하게 될 것이므로 지금 당장 머리 속에 익혀 두는 +것이 좋습니다. ->> C-n$(C@;(B $(C?)7/9x(B $(CCD<-(B $(C1t9Z@L8&(B $(C@L(B $(CAY7N(B $(C0!A.(B $(C?@=J=C?@(B. +>> C-n을 여러번 쳐서 깜박이를 이 줄로 가져 오십시오. ->> C-f$(C8&(B $(CCD<-(B $(CAY(B $(C>H?!<-(B $(C@L5?GX(B $(C:80m(B C-p$(C7N(B $(C5^(B $(CAY7N(B $(C0!=J=C?@(B. - $(C1t9Z@L0!(B $(CAY@G(B $(CA_0#?!(B $(C@V@;(B $(C6'(B C-p$(C0!(B $(C>n62(B $(C@[?k@;(B $(CGO4B0!(B $(C:8=J=C?@(B. +>> C-f를 쳐서 줄 안에서 이동해 보고 C-p로 뒷 줄로 가십시오. + 깜박이가 줄의 중간에 있을 때 C-p가 어떤 작용을 하는가 보십시오. -$(C0"0"@G(B $(CAY@:(B $(C4Y@=?!(B $(C@L>nAv4B(B $(CAY0z(B $(C:P8.GO4B(B $(C;uAY(B $(C9.@Z7N(B $(C3!334O4Y(B. -$(CFD@O@G(B $(C86Av87(B $(CAY@:(B $(C3!?!(B $(C;uAY(B $(C9.@Z0!(B $(C@V>n>_(B $(CGU4O4Y(B ($(C1W7/3*(B $(C@L8F=:4B(B $(C@L8&(B -$(C?d18GOAv(B $(C>J=@4O4Y(B). +각각의 줄은 다음에 이어지는 줄과 분리하는 새줄 문자로 끝납니다. +파일의 마지막 줄은 끝에 새줄 문자가 있어야 합니다 (그러나 이맥스는 이를 +요구하지 않습니다). ->> $(CAY@L(B $(C=C@[GO4B(B $(C0w?!<-(B C-b$(C8&(B $(CCD(B $(C:8=J=C?@(B. $(C1t9Z@L0!(B $(C5^(B $(CAY@G(B $(C3!@87N(B - $(C?rAw?)>_(B $(CGU4O4Y(B. $(C1W(B $(C@L@/4B(B $(C1t9Z@L0!(B $(C;uAY(B $(C9.@Z8&(B $(C3Q>n<-(B $(C5^BJ@87N(B - $(C?rAw@L1b(B $(C6'9.@T4O4Y(B. +>> 줄이 시작하는 곳에서 C-b를 쳐 보십시오. 깜박이가 뒷 줄의 끝으로 + 움직여야 합니다. 그 이유는 깜박이가 새줄 문자를 넘어서 뒷쪽으로 + 움직이기 때문입니다. -C-f$(C55(B C-b$(CC373(B $(C;uAY(B $(C9.@Z8&(B $(C3Q>n<-(B $(C@L5?GR(B $(C<v(B $(C@V=@4O4Y(B. +C-f도 C-b처럼 새줄 문자를 넘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->> C-b$(C8&(B $(C8n(B $(C9x(B $(C4u(B $(CCD<-(B $(C1t9Z@L0!(B $(C>n5p(B $(C@V4B0!8&(B $(C:80m(B C-f$(C7N(B $(C4Y=C(B $(CAY@G(B - $(C3!1nAv(B $(C@L5?GO=J=C?@(B. - $(C1W(B $(C4Y@=?!(B C-f$(C7N(B $(C4Y@=(B $(CAY7N(B $(C@L5?GO=J=C?@(B. +>> C-b를 몇 번 더 쳐서 깜박이가 어디 있는가를 보고 C-f로 다시 줄의 + 끝까지 이동하십시오. + 그 다음에 C-f로 다음 줄로 이동하십시오. -$(CH-8i@G(B $(C2@4k1b3*(B $(C9X9Y4Z@;(B $(CAv3*CD<-(B $(C@L5?GO8i(B $(C0!@e@Z8.8&(B $(C9~>n3-(B $(C1[?y@:(B -$(CH-8i(B $(C>H@87N(B $(C9P7A(B $(C5i>n(B $(C?I4O4Y(B. $(C@L0M@;(B "$(C5N7g8;1b(B(scrolling)"$(C6s0m(B -$(CGU4O4Y(B. $(C@L4B(B $(C@L8F=:0!(B $(C1t9Z@L8&(B $(CH-8i(B $(C9[@87N(B $(C3;:83;Av(B $(C>J0m(B $(C1[?y@G(B $(CA$GXAx(B -$(C@e<R7N(B $(C?rAw@O(B $(C<v(B $(C@V557O(B $(CGU4O4Y(B. +화면의 꼭대기나 밑바닥을 지나쳐서 이동하면 가장자리를 벗어난 글월은 +화면 안으로 밀려 들어 옵니다. 이것을 "두루말기(scrolling)"라고 +합니다. 이는 이맥스가 깜박이를 화면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글월의 정해진 +장소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합니다. ->> C-n$(C@87N(B $(C1t9Z@L8&(B $(CH-8i@G(B $(C9X9Y4Z(B $(C>F7!7N(B $(C?rAw?)<-(B, $(C>n62(B $(C@O@L(B - $(C9_;}GO4B0!8&(B $(C:8=J=C?@(B. +>> C-n으로 깜박이를 화면의 밑바닥 아래로 움직여서, 어떤 일이 + 발생하는가를 보십시오. -$(CGQ(B $(C9.@Z>?(B $(C@L5?GO4B(B $(C0M@L(B $(C4@8.8i(B, $(CGQ(B $(C398;>?(B $(C?rAw@O(B $(C<v(B $(C@V=@4O4Y(B. M-f -(Meta-f)$(C4B(B $(CGQ(B $(C398;>?(B $(C>UBJ@87N(B, M-b$(C4B(B $(CGQ(B $(C398;>?(B $(C5^BJ@87N(B $(C?rAw@T4O4Y(B. +한 문자씩 이동하는 것이 느리면, 한 낱말씩 움직일 수 있습니다. M-f +(Meta-f)는 한 낱말씩 앞쪽으로, M-b는 한 낱말씩 뒷쪽으로 움직입니다. ->> M-f$(C3*(B M-b$(C8&(B $(C8n(B $(C9x(B $(CCD(B $(C:8=J=C?@(B. +>> M-f나 M-b를 몇 번 쳐 보십시오. -$(C398;@G(B $(CA_0#?!<-4B(B $(C398;@G(B $(C3!@87N(B $(C?rAw@T4O4Y(B. $(C398;(B $(C;g@L@G(B $(C0x0#(B -$(C9.@Z?!<-4B(B M-f$(C0!(B $(C4Y@=(B $(C398;@G(B $(C3!@87N(B $(C?rAw@T4O4Y(B. M-b$(C4B(B $(C9]4k(B $(C9fGb@87N(B -$(C00@:(B $(C@[?k@;(B $(CGU4O4Y(B. +낱말의 중간에서는 낱말의 끝으로 움직입니다. 낱말 사이의 공간 +문자에서는 M-f가 다음 낱말의 끝으로 움직입니다. M-b는 반대 방향으로 +같은 작용을 합니다. ->> $(CA_0#(B $(CA_0#?!(B C-f$(C?M(B C-b$(C8&(B $(CD!8i<-(B M-f$(C?M(B M-b$(C8&(B $(C8n(B $(C9x(B - $(C?,=@GO=J=C?@(B. $(C1W7/8i(B $(C398;@G(B $(C3;:N3*(B $(CA_0#?!<-(B M-f$(C?M(B M-b$(C0!(B $(C>n62(B - $(C@[?k@;(B $(CGO4B0!8&(B $(C:<(B $(C<v(B $(C@V=@4O4Y(B. +>> 중간 중간에 C-f와 C-b를 치면서 M-f와 M-b를 몇 번 + 연습하십시오. 그러면 낱말의 내부나 중간에서 M-f와 M-b가 어떤 + 작용을 하는가를 볼 수 있습니다. -C-f$(C?M(B C-b, M-f$(C?M(B M-b$(C@G(B $(C@/;g<:?!(B $(C@/@GGO=J=C?@(B. $(C4k:N:P(B Meta $(C9.@Z4B(B -$(C>p>n0!(B $(CA$@GGO4B(B $(C4\@'(B($(C398;(B, $(C9.@e(B, $(C4\6t(B)$(C@G(B $(C@[5??!(B $(C;g?k5G0m(B $(CA&>n(B -$(C9.@Z4B(B $(CFmA}GO4B(B $(C0M0z4B(B $(C0|0h>x4B(B $(C1b:;(B $(C4\@'(B($(C9.@Z(B, $(CAY(B $(C5n5n(B)$(C?!(B -$(C;g?k5K4O4Y(B. +C-f와 C-b, M-f와 M-b의 유사성에 유의하십시오. 대부분 Meta 문자는 +언어가 정의하는 단위(낱말, 문장, 단락)의 작동에 사용되고 제어 +문자는 편집하는 것과는 관계없는 기본 단위(문자, 줄 등등)에 +사용됩니다. -$(C4Y@=@:(B $(CAY0z(B $(C9.@e(B $(C;g@L?!(B $(C@{?k5G4B(B $(C@/;g<:@T4O4Y(B: C-a$(C?M(B C-e$(C4B(B $(CAY@G(B -$(C=C@[@L3*(B $(C3!@87N(B $(C?rAw@L0m(B, M-a$(C?M(B M-e$(C4B(B $(C9.@e@G(B $(C=C@[@L3*(B $(C3!@87N(B -$(C?rAw@T4O4Y(B. +다음은 줄과 문장 사이에 적용되는 유사성입니다: C-a와 C-e는 줄의 +시작이나 끝으로 움직이고, M-a와 M-e는 문장의 시작이나 끝으로 +움직입니다. ->> C-a$(C8&(B $(C5N<<9x(B $(CD#(B $(CHD(B C-e$(C8&(B $(C5N<<9x(B $(CCD(B $(C:8=J=C?@(B. - M-a$(C8&(B $(C5N<<9x(B $(CD#(B $(CHD(B M-e$(C8&(B $(C5N<<9x(B $(CCD(B $(C:8=J=C?@(B. +>> C-a를 두세번 친 후 C-e를 두세번 쳐 보십시오. + M-a를 두세번 친 후 M-e를 두세번 쳐 보십시오. -C-a$(C4B(B $(C5N(B $(C9x(B $(C@L;s(B $(C9]:9GX55(B $(C>F9+71(B $(C@[?k@;(B $(CGOAv(B $(C>JAv88(B M-a$(C4B(B $(CGQ(B $(C9.@e@;(B -$(C4u(B $(C5Z7N(B $(C?rAw@L4B(B $(C0M?!(B $(C@/@GGO=J=C?@(B. $(C@L4B(B $(C:q7O(B $(C@/;g<:@:(B $(C>F4OAv88(B -$(C4g?,GQ(B $(C;g=G7N(B $(C?)0\A}4O4Y(B. +C-a는 두 번 이상 반복해도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지만 M-a는 한 문장을 +더 뒤로 움직이는 것에 유의하십시오. 이는 비록 유사성은 아니지만 +당연한 사실로 여겨집니다. -$(C9.<-?!(B $(C@V4B(B $(C1t9Z@L@G(B $(C@'D!4B(B "$(CA!(B(point)"$(C@L6s0m(B $(C:N8(4O4Y(B. $(C:N?,GO@Z8i(B, -$(C1t9Z@L4B(B $(CH-8i;s?!<-(B, $(C9.<-(B $(C3;?!(B $(CA!@L(B $(C>n5p?!(B $(C@'D!GO0m(B $(C@V4B0!8&(B -$(C:8?)A]4O4Y(B. +문서에 있는 깜박이의 위치는 "점(point)"이라고 부릅니다. 부연하자면, +깜박이는 화면상에서, 문서 내에 점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+보여줍니다. -$(C4Y@=@:(B $(C398;0z(B $(C9.@e(B $(C4\@'@G(B $(C@L5?@;(B $(CFwGTGQ(B $(C4\<xGQ(B $(C1t9Z@L(B $(C@L5?(B $(C@[5?@;(B -$(C?d>`GO?4=@4O4Y(B. +다음은 낱말과 문장 단위의 이동을 포함한 단순한 깜박이 이동 작동을 +요약하였습니다. - C-f $(CGQ(B $(C9.@Z(B $(C>UBJ@87N(B $(C?rAw@N4Y(B - C-b $(CGQ(B $(C9.@Z(B $(C5^BJ@87N(B $(C?rAw@N4Y(B + C-f 한 문자 앞쪽으로 움직인다 + C-b 한 문자 뒷쪽으로 움직인다 - M-f $(CGQ(B $(C4\>n(B $(C>UBJ@87N(B $(C?rAw@N4Y(B - M-b $(CGQ(B $(C4\>n(B $(C5^BJ@87N(B $(C?rAw@N4Y(B + M-f 한 단어 앞쪽으로 움직인다 + M-b 한 단어 뒷쪽으로 움직인다 - C-n $(C>U(B $(CAY7N(B $(C?rAw@N4Y(B - C-p $(C5^(B $(CAY7N(B $(C?rAw@N4Y(B + C-n 앞 줄로 움직인다 + C-p 뒷 줄로 움직인다 - C-a $(CAY@G(B $(C=C@[@87N(B $(C?rAw@N4Y(B - C-e $(CAY@G(B $(C3!@87N(B $(C?rAw@N4Y(B + C-a 줄의 시작으로 움직인다 + C-e 줄의 끝으로 움직인다 - M-a $(C9.@e@G(B $(C=C@[@87N(B $(C?rAw@N4Y(B - M-e $(C9.@e@G(B $(C3!@87N(B $(C?rAw@N4Y(B + M-a 문장의 시작으로 움직인다 + M-e 문장의 끝으로 움직인다 ->> $(C@L(B $(C8p5g(B $(C8m7I@;(B $(C8n(B $(C9x(B $(C?,=@GX(B $(C:8=J=C?@(B. $(C@L(B $(C8m7I5i@:(B $(C0!@e(B $(C@ZAV(B - $(C;g?k5G4B(B $(C8m7I5i@T4O4Y(B. +>> 이 모든 명령을 몇 번 연습해 보십시오. 이 명령들은 가장 자주 + 사용되는 명령들입니다. -$(C1t9Z@L8&(B $(C?rAw@L4B(B $(C4Y8%(B $(C5N0!Av(B $(CA_?dGQ(B $(C8m7I@:(B $(C@|(B $(C9.<-@G(B $(C=C@[@87N(B -$(C?rAw@L4B(B M-< (Meta$(C<h(B $(C4u@[@=(B $(C1[<h(B)$(C?M(B $(C@|(B $(C9.<-@G(B $(C3!@87N(B $(C?rAw@L4B(B M-> -(Meta$(C<h(B $(C4uE-(B $(C1[<h(B)$(C@T4O4Y(B. +깜박이를 움직이는 다른 두가지 중요한 명령은 전 문서의 시작으로 +움직이는 M-< (Meta쇠 더작음 글쇠)와 전 문서의 끝으로 움직이는 M-> +(Meta쇠 더큼 글쇠)입니다. ->> M-<$(C8&(B $(CAv1](B $(CCD<-(B $(CAvD'<-@G(B $(C=C@[@87N(B $(C?rAw?)(B $(C:8=J=C?@(B. $(C1W8.0m4B(B C-v$(C8&(B - $(C9]:9GX<-(B $(C4Y=C(B $(C?)1b7N(B $(C59>F(B $(C?@=J=C?@(B. +>> M-<를 지금 쳐서 지침서의 시작으로 움직여 보십시오. 그리고는 C-v를 + 반복해서 다시 여기로 돌아 오십시오. ->> M->$(C8&(B $(CCD<-(B $(CAvD'<-@G(B $(C3!@87N(B $(C0!=J=C?@(B. $(C1W8.0m4B(B M-v$(C8&(B $(C9]:9GX<-(B $(C4Y=C(B - $(C?)1b7N(B $(C59>F(B $(C?@=J=C?@(B. +>> M->를 쳐서 지침서의 끝으로 가십시오. 그리고는 M-v를 반복해서 다시 + 여기로 돌아 오십시오. -$(C4\8;1b?!(B $(CH-;lG%(B $(C1[<h0!(B $(C@V@88i(B $(CH-;lG%(B $(C1[<h8&(B $(C=a<-(B $(C1t9Z@L8&(B $(C?rAw@O(B $(C<v55(B -$(C@V=@4O4Y(B. $(C4Y@=0z(B $(C00@:(B $(C<<0!Av(B $(C@L@/7N(B C-b, C-f, C-n $(C1W8.0m(B C-p$(C8&(B $(C>24B(B -$(C0M@;(B $(C1G@eGU4O4Y(B. $(CC9B07N(B, $(C@L5i@:(B $(C8p5g(B $(CA>7y@G(B $(C4\8;1b?!<-(B $(C;g?kGR(B $(C<v(B -$(C@V=@4O4Y(B. $(C5QB07N(B, $(C@O4\(B $(C@L8F=:8&(B $(C>24B(B $(C0M?!(B $(C@M<wGX(B $(CAv8i(B, $(C@L71(B $(CA&>n(B -$(C9.@Z@;(B $(CD!4B(B $(C0M@L(B $(CH-;lG%(B $(C1[<h8&(B $(CD!4B(B $(C0M:84Y(B $(CHN>@(B $(C:|8#4Y4B(B $(C0M@;(B $(C>K0T(B $(C5I(B -$(C0M@T4O4Y(B ($(CE8@Z(B $(C@'D!?!<-(B $(C<U@;(B $(C8V8.(B $(C?rAw@O(B $(CGJ?d0!(B $(C>x1b(B $(C6'9.?!(B). $(C<BB07N(B, -$(C@O4\(B $(C@L71(B $(CA&>n(B $(C9.@Z(B $(C8m7I@;(B $(C>24B(B $(C=@0|@L(B $(C5i8i(B $(C1t9Z@L8&(B $(C?rAw@L4B(B $(C4Y8%(B -$(C0m1^(B $(C8m7I5i55(B $(C=10T(B $(C9h?o(B $(C<v(B $(C@V=@4O4Y(B. +단말기에 화살표 글쇠가 있으면 화살표 글쇠를 써서 깜박이를 움직일 수도 +있습니다. 다음과 같은 세가지 이유로 C-b, C-f, C-n 그리고 C-p를 쓰는 +것을 권장합니다. 첫째로, 이들은 모든 종류의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+있습니다. 둘째로, 일단 이맥스를 쓰는 것에 익숙해 지면, 이런 제어 +문자을 치는 것이 화살표 글쇠를 치는 것보다 훨씬 빠르다는 것을 알게 될 +것입니다 (타자 위치에서 손을 멀리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). 셋째로, +일단 이런 제어 문자 명령을 쓰는 습관이 들면 깜박이를 움직이는 다른 +고급 명령들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. -$(C4k:N:P@G(B $(C@L8F=:(B $(C8m7I?!4B(B $(C<}@Z(B $(C@N<v8&(B $(CA$GXAY(B $(C<v(B $(C@V=@4O4Y(B; $(C@L4B(B $(C4k:N:P(B, -$(C8m7I@G(B $(C9]:9(B $(CH=<v8&(B $(CA$GX(B $(CA]4O4Y(B. $(C@L780T(B $(C8m7I?!(B $(C9]:9(B $(CH=<v8&(B $(CA$GXAV4B(B -$(C9f9}@:(B $(C8m7I@;(B $(CD!1b(B $(C@|?!(B C-u$(C?M(B $(C<}@Z8&(B $(CD!4B(B $(C0M@87N(B $(C@L7g>nA}4O4Y(B. META$(C<h(B -($(CH$@:(B EDIT$(C<h3*(B $(C13C<<h(B)$(C0!(B $(C@V@88i(B $(C4Y8%(B $(C9f9}@87N(B $(C<}@Z(B $(C@N<v8&(B $(C@T7BGR(B $(C<v(B -$(C@V=@4O4Y(B: MEAT$(C<h8&(B $(C4)8%(B $(CC$(B $(C<}@Z8&(B $(CD!=J=C?@(B. C-u $(C9f9}@:(B $(C>n62(B -$(C4\8;1b?!<-55(B $(C;g?kGR(B $(C<v(B $(C@V1b(B $(C6'9.?!(B $(C@L8&(B $(C;g?kGO1b(B $(C9Y6x4O4Y(B. +대부분의 이맥스 명령에는 숫자 인수를 정해줄 수 있습니다; 이는 대부분, +명령의 반복 횟수를 정해 줍니다. 이렇게 명령에 반복 횟수를 정해주는 +방법은 명령을 치기 전에 C-u와 숫자를 치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. META쇠 +(혹은 EDIT쇠나 교체쇠)가 있으면 다른 방법으로 숫자 인수를 입력할 수 +있습니다: MEAT쇠를 누른 채 숫자를 치십시오. C-u 방법은 어떤 +단말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기 바랍니다. -$(C?98&(B $(C5i>n(B, C-u 8 C-f$(C4B(B $(C9.@Z(B $(C?)4|03@G(B $(C>UBJ@87N(B $(C?rAw@T4O4Y(B. +예를 들어, C-u 8 C-f는 문자 여덟개의 앞쪽으로 움직입니다. ->> $(CGQ(B $(C9x@G(B $(C8m7I@87N(B $(C1t9Z@L0!(B $(C@L(B $(CAY(B $(C1YC3?!(B $(C?@557O(B, $(C<}@Z(B $(C@N<v0!(B $(CAV>nAx(B - C-n $(CH$@:(B C-p$(C8&(B $(C=C55GX(B $(C:8=J=C?@(B. +>> 한 번의 명령으로 깜박이가 이 줄 근처에 오도록, 숫자 인수가 주어진 + C-n 혹은 C-p를 시도해 보십시오. -$(C4k:N:P@G(B $(C8m7I5i@:(B $(C<}@Z(B $(C@N<v8&(B $(C9]:9(B $(CH=<v7N(B $(C;g?kGOAv88(B $(C0f?l?!(B $(C5{6s<-4B(B -$(C?9?\@{@N(B $(C8m7I5i@L(B $(C4Y8%(B $(C?k557N(B $(C>5(B $(C<v(B $(C@V=@4O4Y(B. C-v$(C?M(B M-v$(C4B(B $(C@L71(B $(C?9?\?!(B -$(C<SGU4O4Y(B. $(C@N<v8&(B $(CAV8i(B $(C1W(B $(C88E-@G(B $(CH-8i(B $(C<v8&(B $(C5N7g8;1b(B $(CGOAv(B $(C>J0m(B $(C1W(B -$(C88E-@G(B $(CAY@;(B $(CH-8i@G(B $(C@'3*(B $(C>F7!7N(B $(C5N7g8;1b(B $(CGU4O4Y(B. $(CAo(B, C-u 4 C-v$(C4B(B -$(CH-8i@;(B 4 $(CAY(B $(C88E-(B $(C5N7g8;1b(B $(CGU4O4Y(B. +대부분의 명령들은 숫자 인수를 반복 횟수로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+예외적인 명령들이 다른 용도로 쓸 수 있습니다. C-v와 M-v는 이런 예외에 +속합니다. 인수를 주면 그 만큼의 화면 수를 두루말기 하지 않고 그 +만큼의 줄을 화면의 위나 아래로 두루말기 합니다. 즉, C-u 4 C-v는 +화면을 4 줄 만큼 두루말기 합니다. ->> $(C@LA&(B C-u 8 C-v$(C8&(B $(CCD(B $(C:8=J=C?@(B. +>> 이제 C-u 8 C-v를 쳐 보십시오. -$(C@L7N<-(B $(CH-8i@:(B 8 $(CAY@L(B $(C@'7N(B $(C5N7g8;1b(B $(C5F@;(B $(C0M@T4O4Y(B. $(C4Y=C(B $(C9X@87N(B -$(C5N7g8;1b(B $(CGO1b(B $(C@'GX<-4B(B $(C@N<v8&(B M-v$(C?!(B $(CA]4O4Y(B. +이로서 화면은 8 줄이 위로 두루말기 됐을 것입니다. 다시 밑으로 +두루말기 하기 위해서는 인수를 M-v에 줍니다. -X11$(C3*(B MS-Windows$(C?M(B $(C00@:(B $(CC"(B $(C1b4I(B $(CH-8i(B $(CG%=C8&(B $(C>5(B $(C0f?l?!4B(B $(C@L8F=:(B $(CC"@G(B -$(C?^Fm?!(B $(C5N7g8;1b(B $(C874k6s0m(B $(C:R8.?l4B(B $(C1b4Y6u(B $(C;g0"G|(B $(C8p>g@G(B $(CEM0!(B $(C@V@;(B -$(C0M@T4O4Y(B. $(C@L(B $(C5N7g8;1b(B $(C874k?!(B $(C4Y6wAc8&(B $(C5~1oGT@87N=a(B $(C1[?y@;(B $(C5N7g8;1b(B $(CGR(B -$(C<v(B $(C@V=@4O4Y(B. +X11나 MS-Windows와 같은 창 기능 화면 표시를 쓸 경우에는 이맥스 창의 +왼편에 두루말기 막대라고 불리우는 기다란 사각형 모양의 터가 있을 +것입니다. 이 두루말기 막대에 다람쥐를 딸깍함으로써 글월을 두루말기 할 +수 있습니다. ->> $(C5N7g8;1b(B $(C874k(B $(C3;?!<-(B $(C4+?!(B $(C6g4B(B $(C:N:P@G(B $(C2@4k1b8&(B $(CA_0#(B $(C4\C_7N(B $(C4-7/(B - $(C:8=J=C?@(B. $(C1W7/8i(B $(C1[?y@:(B $(C4Y6wAc7N(B $(C4)8%(B $(C@'D!?!(B $(C5{8%(B $(C>g(B $(C88E-@G(B $(C@'D!8&(B - $(C@'3*(B $(C>F7!7N(B $(C5N7g8;1b(B $(C5I(B $(C0M@T4O4Y(B. +>> 두루말기 막대 내에서 눈에 띄는 부분의 꼭대기를 중간 단추로 눌러 + 보십시오. 그러면 글월은 다람쥐로 누른 위치에 따른 양 만큼의 위치를 + 위나 아래로 두루말기 될 것입니다. ->> $(C4Y6wAc8&(B $(CA_0#(B $(C4\C_0!(B $(C4-7/Ax(B $(C;sEB?!<-(B $(C@'3*(B $(C>F7!7N(B $(C?rAw?)(B $(C:8=J=C?@(B. - $(C1W7/8i(B $(C1[?y@L(B $(C4Y6wAc0!(B $(C?rAw@L4B4k7N(B $(C@'3*(B $(C>F7!7N(B $(C5N7g8;1b(B $(C5I(B - $(C0M@T4O4Y(B. +>> 다람쥐를 중간 단추가 눌러진 상태에서 위나 아래로 움직여 보십시오. + 그러면 글월이 다람쥐가 움직이는대로 위나 아래로 두루말기 될 + 것입니다. -* $(C@L8F=:@G(B $(C@[5?@L(B $(C4\@}5I(B $(C6'(B +* 이맥스의 작동이 단절될 때 --------------------------- -$(C8m7I@;(B $(CAV>n55(B $(C@L8F=:0!(B $(C9]@@@;(B $(CGOAv(B $(C>J@;(B $(C6'4B(B C-g$(C8&(B $(CCD<-(B $(C@L8F=:@G(B $(C@[5?@;(B -$(C>H@|GO0T(B $(CA$Av=CE3(B $(C<v(B $(C@V=@4O4Y(B. C-g$(C4B(B $(C=GG`GO4B5%(B $(C3J9+(B $(C?@7#(B $(C=C0#@L(B -$(C0I8.4B(B $(C8m7I@;(B $(CA_Av=CE3(B $(C6'?!(B $(C;g?k5I(B $(C<v(B $(C@V=@4O4Y(B. +명령을 주어도 이맥스가 반응을 하지 않을 때는 C-g를 쳐서 이맥스의 작동을 +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. C-g는 실행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+걸리는 명령을 중지시킬 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. -C-g$(C4B(B $(C<}@Z(B $(C@N<v8&(B $(C9+=CGX(B $(C9v81(B $(C6'3*(B $(C>n62(B $(C8m7I@;(B $(C=C@[GO?4Av88(B $(C=GG`=CE00m(B -$(C=MAv(B $(C>J@;(B $(C6'?!55(B $(C;g?k5I(B $(C<v(B $(C@V=@4O4Y(B. +C-g는 숫자 인수를 무시해 버릴 때나 어떤 명령을 시작하였지만 실행시키고 +싶지 않을 때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. ->> C-u 100$(C@;(B $(CCD<-(B $(C<}@Z(B $(C@N<v8&(B 100$(C@87N(B $(CGO0m(B $(C3-(B $(CHD(B C-g$(C8&(B $(CCD(B - $(C:8=J=C?@(B. $(C1W8.0m(B $(C3*<-(B C-f$(C8&(B $(CD(4O4Y(B. $(C@N<v4B(B C-g$(C7N=a(B $(C>x>]@=@87N(B $(CGQ(B - $(C9.@Z88(B $(C>U@87N(B $(C?rAw?)>_(B $(CGU4O4Y(B. +>> C-u 100을 쳐서 숫자 인수를 100으로 하고 난 후 C-g를 쳐 + 보십시오. 그리고 나서 C-f를 칩니다. 인수는 C-g로써 없앴음으로 한 + 문자만 앞으로 움직여야 합니다. -* $(C9+4I(B $(C8m7I(B +* 무능 명령 ----------- -$(C>n62(B $(C@L8F=:(B $(C8m7I@:(B "$(CGc?k5GAv(B $(C>J>F<-(B"(disabled) $(CCJ:8@Z0!(B $(C@_8x(B $(C;g?kGOAv(B -$(C>J557O(B $(C5G>n(B $(C@V=@4O4Y(B. +어떤 이맥스 명령은 "허용되지 않아서"(disabled) 초보자가 잘못 사용하지 +않도록 되어 있습니다. -$(C@L71(B $(C9+4I(B $(C8m7I@;(B $(C>28i(B, $(C@L8F=:4B(B $(C@L(B $(C8m7I@L(B $(C9+>y@L>z@88g(B, $(C@L(B $(C8m7I@;(B $(C1W3I(B -$(C1W4k7N(B $(C=GG`GR(B $(C0M@NAv8&(B $(C90>n(B $(C:84B(B $(C>K828;@;(B $(CH-8i(B $(CG%=CGU4O4Y(B. +이런 무능 명령을 쓰면, 이맥스는 이 명령이 무엇이었으며, 이 명령을 그냥 +그대로 실행할 것인지를 물어 보는 알림말을 화면 표시합니다. -$(C?x7!0!(B $(C@L(B $(C8m7I@;(B $(C>20m@Z(B $(CGO?44Y8i(B, $(C90@=?!(B $(C4kGX(B $(C;g@L(B $(C9.@Z(B(Space)$(C8&(B $(CCD<-(B -$(C4dGO=J=C?@(B. $(C:8Ek@:(B $(C9+4I(B $(C8m7I@;(B $(C=GG`=CE0Av(B $(C>J1b(B $(C@'GX(B $(C90@=?!(B "n"$(C@87N(B -$(C4dGU4O4Y(B. +원래가 이 명령을 쓰고자 하였다면, 물음에 대해 사이 문자(Space)를 쳐서 +답하십시오. 보통은 무능 명령을 실행시키지 않기 위해 물음에 "n"으로 +답합니다. ->> C-x C-l ($(C9+4I(B $(C8m7I@G(B $(CGO3*(B)$(C@;(B $(CD#(B $(CHD(B n$(C@87N(B $(C90@=?!(B $(C4dGO=J=C?@(B. +>> C-x C-l (무능 명령의 하나)을 친 후 n으로 물음에 답하십시오. -* $(CC"(B +* 창 ---- -$(C@L8F=:4B(B $(C?)7/(B $(CC"@;(B $(C0!Az(B $(C<v(B $(C@V@88g(B $(C0"0"@:(B $(C5{7N(B $(C9.<-8&(B $(CH-8i(B $(CG%=CGU4O4Y(B. -$(C4YA_(B $(CC"@;(B $(C>24B(B $(C9f9}?!(B $(C4kGX<-4B(B $(C3*A_?!(B $(C<38mGO1b7N(B $(CGU4O4Y(B. $(CAv1]@:(B -$(C4Y8%(B $(CC"@;(B $(C>x>V0m(B $(C?x7!?!(B $(C@V4x(B $(CC"(B $(CGO3*7N(B $(C59>F0!(B $(CFmA}@;(B $(C0h<SGO4B(B $(C9f9}88@;(B -$(C<38mGU4O4Y(B. $(C0#4\GU4O4Y(B: +이맥스는 여러 창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은 따로 문서를 화면 표시합니다. +다중 창을 쓰는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합니다. 지금은 +다른 창을 없애고 원래에 있던 창 하나로 돌아가 편집을 계속하는 방법만을 +설명합니다. 간단합니다: - C-x 1 $(CC"@;(B $(CGO3*7N(B $(C885i1b(B ($(CAo(B, $(C4Y8%(B $(CC"5i@;(B $(C>x>[4O4Y(B). + C-x 1 창을 하나로 만들기 (즉, 다른 창들을 없앱니다). -$(C@L0M@:(B $(CA&>n<h(B-x $(C4Y@=?!(B $(C<}@Z(B $(C1[<h(B 1$(C@T4O4Y(B. C-x 1$(C@:(B $(C1t9Z@L0!(B $(C@V4B(B -$(CC"@;(B $(CH.@eGX<-(B $(C@|C<(B $(CH-8i@;(B $(C>2557O(B $(CGU4O4Y(B. $(C4Y8%(B $(CC"5i@:(B $(CAv?vA}4O4Y(B. +이것은 제어쇠-x 다음에 숫자 글쇠 1입니다. C-x 1은 깜박이가 있는 +창을 확장해서 전체 화면을 쓰도록 합니다. 다른 창들은 지워집니다. ->> $(C1t9Z@L8&(B $(C@L(B $(CAY7N(B $(C?rAw@N(B $(CHD(B C-u 0 C-l$(C@;(B $(CD!=J=C?@(B. ->> $(CA&>n<h(B-h k $(CA&>n<h(B-f$(C8&(B $(CD!=J=C?@(B. - $(CA&>n<h(B-f $(C8m7I?!(B $(C4kGQ(B $(C9.<-H-8&(B $(CH-8i(B $(CG%=CGO1b(B $(C@'GX(B $(C;u(B $(CC"@L(B - $(C3*E83*8i<-(B $(C@L(B $(CC"@L(B $(C>n6;0T(B $(CAY>n(B $(C5e4B0!8&(B $(C0|B{GO=J=C?@(B. +>> 깜박이를 이 줄로 움직인 후 C-u 0 C-l을 치십시오. +>> 제어쇠-h k 제어쇠-f를 치십시오. + 제어쇠-f 명령에 대한 문서화를 화면 표시하기 위해 새 창이 + 나타나면서 이 창이 어떻게 줄어 드는가를 관찰하십시오. ->> C-x 1$(C@;(B $(CCD<-(B $(C9.<-H-(B $(C8q7O(B $(C@[<:(B $(CC"@L(B $(C>n6;0T(B $(C;g6sAv4B0!8&(B $(C:8=J=C?@(B. +>> C-x 1을 쳐서 문서화 목록 작성 창이 어떻게 사라지는가를 보십시오. -$(C@L(B $(C8m7I@:(B $(C5N(B $(C9.@Z7N(B $(C18<:5G>n(B $(C@V4Y4B(B $(CA!?!<-(B $(CAv1]1nAv(B $(C9h?n(B $(C4Y8%(B $(C8m7I5i0z(B -$(C4Y8(4O4Y(B. $(C=C@[@:(B $(CA&>n<h(B-x$(C7N(B $(CGU4O4Y(B. $(CA&>n<h(B-x$(C7N(B $(C=C@[GO4B(B $(C8m7I5i@:(B -$(C9+C4(B $(C89=@4O4Y(B; $(C1W71(B $(C89@:(B $(C8m7I5i@:(B $(CC"@L3*(B $(CFD@O(B, $(C;g@LD-(B(buffer) $(C3;Av4B(B -$(C1W71(B $(C0M0z(B $(C?,0|<:@L(B $(C@V4B(B $(C8m7I5i@T4O4Y(B. $(C@L71(B $(C8m7I5i@:(B $(C5Q(B, $(C<B(B $(CH$@:(B -$(C3W03@G(B $(C9.@Z8&(B $(C>94O4Y(B. +이 명령은 두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배운 다른 명령들과 +다릅니다. 시작은 제어쇠-x로 합니다. 제어쇠-x로 시작하는 명령들은 +무척 많습니다; 그런 많은 명령들은 창이나 파일, 사이칸(buffer) 내지는 +그런 것과 연관성이 있는 명령들입니다. 이런 명령들은 둘, 셋 혹은 +네개의 문자를 씁니다. -* $(C3"?l1b?M(B $(CAv?l1b(B +* 끼우기와 지우기 ----------------- -$(C1[?y@;(B $(C3"?l1b(B $(C@'GX<-4B(B $(C1W(B $(C1[?y@;(B $(CE8@ZD!8i(B $(C5K4O4Y(B. A, 7, *, $(C5n5n0z(B -$(C00@L(B, $(C:<(B $(C<v(B $(C@V4B(B $(C9.@Z5i@:(B $(C@L8F=:0!(B $(C1[?y7N(B $(C@N=DGO?)(B $(CAo0"(B $(C3"?s4O4Y(B. -<Return>($(C:91M<h(B)$(C8&(B $(CD!8i(B $(C;uAY(B $(C9.@Z0!(B $(C3"?vA}4O4Y(B. +글월을 끼우기 위해서는 그 글월을 타자치면 됩니다. A, 7, *, 등등과 +같이, 볼 수 있는 문자들은 이맥스가 글월로 인식하여 즉각 끼웁니다. +<Return>(복귀쇠)를 치면 새줄 문자가 끼워집니다. -<Delete>$(C8&(B $(CD!8i(B $(C86Av87@87N(B $(C@T7B5H(B $(C9.@Z0!(B $(CAv?vA}4O4Y(B. <Delete>$(C4B(B -$(C1[<hFG?!(B "Del"$(C@L6s0m55(B $(C@L8'G%0!(B $(C4^7A(B $(C@V=@4O4Y(B. $(C>n62(B $(C0f?l?!4B(B -"Backspace" $(C1[<h0!(B <Delete>$(C@G(B $(C?*GR@;(B $(CGO1b55(B $(CGOAv88(B $(CGW;s(B $(C1W78Av4B(B -$(C>J=@4O4Y(B! +<Delete>를 치면 마지막으로 입력된 문자가 지워집니다. <Delete>는 +글쇠판에 "Del"이라고도 이름표가 달려 있습니다. 어떤 경우에는 +"Backspace" 글쇠가 <Delete>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항상 그렇지는 +않습니다! -$(CA;(B $(C4u(B $(C@O9]@{@87N(B, <Delete>$(C4B(B $(C1t9Z@L(B $(CGv@'D!@G(B $(C9Y7N(B $(C@|?!(B $(C@V4B(B $(C9.@Z8&(B -$(CAv?s4O4Y(B. +좀 더 일반적으로, <Delete>는 깜박이 현위치의 바로 전에 있는 문자를 +지웁니다. ->> $(C1W(B $(C0M@;(B $(CGX(B $(C:8=J=C?@(B--$(C8n8n(B $(C9.@Z8&(B $(CD#(B $(CHD(B <Delete>$(C8&(B $(CCD<-(B - $(CAv?v:8=J=C?@(B. $(C@L(B $(CFD@O@L(B $(C:/0f5G4B(B $(C0M?!(B $(C4kGQ(B $(C0FA$@:(B $(CGOAv(B $(C>J>F55(B - $(C5K4O4Y(B; $(C@86d(B $(CAvD'<-4B(B $(C:/0f5GAv(B $(C>J=@4O4Y(B. $(C@L(B $(CFD@O@:(B $(C@86d(B $(CAvD'<-@G(B - $(C03@N?k(B $(C:9;g:;@T4O4Y(B. +>> 그 것을 해 보십시오--몇몇 문자를 친 후 <Delete>를 쳐서 + 지워보십시오. 이 파일이 변경되는 것에 대한 걱정은 하지 않아도 + 됩니다; 으뜸 지침서는 변경되지 않습니다. 이 파일은 으뜸 지침서의 + 개인용 복사본입니다. -$(C1[?y@L(B $(CH-8i@G(B $(CGQ(B $(CAY?!(B $(C4Y(B $(C5i>n0!Av(B $(C8xGR(B $(CA$557N(B $(CD?Av8i(B $(C1[?y@G(B $(CAY@:(B -$(CH-8i@G(B $(C5N9xB0(B $(CAY?!<-(B "$(C0h<S(B"$(C5K4O4Y(B. $(C?@8%BJ(B $(CGQ0h?!(B $(C@V4B(B $(C?*;g<1(B $(C9.@Z(B -("\")$(C4B(B $(CAY@L(B $(C4Y@=(B $(CAY7N(B $(C@L>nAv4B(B $(C0M@;(B $(C0!8.E54O4Y(B. +글월이 화면의 한 줄에 다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커지면 글월의 줄은 +화면의 두번째 줄에서 "계속"됩니다. 오른쪽 한계에 있는 역사선 문자 +("\")는 줄이 다음 줄로 이어지는 것을 가리킵니다. ->> $(C1[?y@;(B $(C0h<S(B $(C3"?v<-(B $(C?@8%BJ(B $(CGQ0h8&(B $(C3Q>n<-557O(B $(CGO=J=C?@(B. $(C1W7/8i(B $(CAY(B - $(C0h<S(B $(CG%=C0!(B $(C3*E83/(B $(C0M@T4O4Y(B. +>> 글월을 계속 끼워서 오른쪽 한계를 넘어서도록 하십시오. 그러면 줄 + 계속 표시가 나타날 것입니다. ->> <Delete>$(C8&(B $(C=a<-(B $(C1[?y@G(B $(CAY@L(B $(CGQ(B $(CH-8i(B $(CAY?!(B $(C2K(B $(CBw557O(B $(C4Y=C(B - $(CAv?l=J=C?@(B. $(CAY(B $(C0h<S(B $(CG%=C4B(B $(C>x>nA}4O4Y(B. +>> <Delete>를 써서 글월의 줄이 한 화면 줄에 꽉 차도록 다시 + 지우십시오. 줄 계속 표시는 없어집니다. -$(C;uAY(B $(C9.@Z55(B $(C4Y8%(B $(C9.@ZC373(B $(CAv?o(B $(C<v(B $(C@V=@4O4Y(B. $(CAY@;(B $(C5Q7N(B $(C3*4)4B(B $(C;uAY(B -$(C9.@Z8&(B $(CAv?l8i(B $(C5N(B $(CAY@L(B $(CGO3*7N(B $(CGUD!0T(B $(C5K4O4Y(B. $(C@L(B $(CGUD#(B $(CAY@L(B $(C3J9+(B $(C1f>n<-(B -$(CH-8i@G(B $(C3J:q8&(B $(C3Q>n<-8i(B $(C1W(B $(CAY@:(B $(CAY(B $(C0h<S(B $(C9.@Z0!(B $(CG%=C5G8i<-(B $(C4Y@=(B $(CAY?!(B -$(C0h<S(B $(CH-8i(B $(CG%=C5I(B $(C0M@T4O4Y(B. +새줄 문자도 다른 문자처럼 지울 수 있습니다. 줄을 둘로 나누는 새줄 +문자를 지우면 두 줄이 하나로 합치게 됩니다. 이 합친 줄이 너무 길어서 +화면의 너비를 넘어서면 그 줄은 줄 계속 문자가 표시되면서 다음 줄에 +계속 화면 표시될 것입니다. ->> $(C1t9Z@L8&(B $(CAY@G(B $(C=C@[@87N(B $(C?rAw?)<-(B <Delete>$(C8&(B $(CD!=J=C?@(B. $(C1W7/8i(B $(C1W(B - $(CAY@L(B $(C@L@|(B $(CAY0z(B $(CGUCDAz(B $(C0M@T4O4Y(B. +>> 깜박이를 줄의 시작으로 움직여서 <Delete>를 치십시오. 그러면 그 + 줄이 이전 줄과 합쳐질 것입니다. ->> $(C4Y=C(B <Return>$(C@;(B $(CCD<-(B $(CAv?vAx(B $(C;uAY(B $(C9.@Z8&(B $(C3"?l=J=C?@(B. +>> 다시 <Return>을 쳐서 지워진 새줄 문자를 끼우십시오. -$(C4k:N:P@G(B $(C@L8F=:(B $(C8m7I?!4B(B $(C9]:9(B $(CH=<v8&(B $(CAY(B $(C<v(B $(C@V4Y4B(B $(C0M@;(B $(C1b>oGO=J=C?@(B; -$(C1[?y(B $(C9.@Z55(B $(CGX4g5K4O4Y(B. $(C1[?y(B $(C9.@Z8&(B $(C9]:9GO4B(B $(C0M@:(B $(C1W(B $(C0M@;(B $(C?)7/9x(B -$(C3"?l4B(B $(C0M@T4O4Y(B. +대부분의 이맥스 명령에는 반복 횟수를 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; +글월 문자도 해당됩니다. 글월 문자를 반복하는 것은 그 것을 여러번 +끼우는 것입니다. ->> $(C1W(B $(C0M@;(B $(CAv1](B $(CGX(B $(C:>4O4Y(B -- C-u 8 *$(C@;(B $(CCD<-(B ********$(C@;(B $(C3"?l=J=C?@(B. +>> 그 것을 지금 해 봅니다 -- C-u 8 *을 쳐서 ********을 끼우십시오. -$(C@LA&(B $(C@L8F=:?!<-(B $(C9+>p0!8&(B $(CD!0m(B $(CBx?@8&(B $(C13A$GO4B(B $(C0!@e(B $(C1b:;@{@N(B $(C9f9}@;(B -$(C9h?|=@4O4Y(B. $(C398;@L3*(B $(CAY55(B $(CGQ9x?!(B $(CAv?o(B $(C<v(B $(C@V=@4O4Y(B. $(C?)1b?!(B $(CAv?l4B(B -$(C@[5?@;(B $(C?d>`GU4O4Y(B. +이제 이맥스에서 무언가를 치고 착오를 교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을 +배웠습니다. 낱말이나 줄도 한번에 지울 수 있습니다. 여기에 지우는 +작동을 요약합니다. - <Delete> $(C1t9Z@L(B $(CAw@|@G(B $(C9.@Z(B $(CAv?l1b(B - C-d $(C1t9Z@L(B $(C4Y@=@G(B $(C9.@Z(B $(CAv?l1b(B + <Delete> 깜박이 직전의 문자 지우기 + C-d 깜박이 다음의 문자 지우기 - M-<Delete> $(C1t9Z@L(B $(CAw@|@G(B $(C398;(B $(CAW@L1b(B - M-d $(C1t9Z@L(B $(C4Y@=@G(B $(C398;(B $(CAW@L1b(B + M-<Delete> 깜박이 직전의 낱말 죽이기 + M-d 깜박이 다음의 낱말 죽이기 - C-k $(C1t9Z@L(B $(C@'D!7N:NEM(B $(CAY(B $(C3!1nAv(B $(CAW@L1b(B - M-k $(CGv@g(B $(C9.@e@G(B $(C3!1nAv(B $(CAW@L1b(B + C-k 깜박이 위치로부터 줄 끝까지 죽이기 + M-k 현재 문장의 끝까지 죽이기 -C-f$(C?M(B M-f$(C?!<-(B $(C=C@[GQ(B $(C@/;g<:@L(B <Delete>$(C?M(B C-d $(C1W8.0m(B M-<Delete>$(C?M(B M-d$(C7N(B -$(C@L>nAv4B(B $(C0M@;(B $(C@/@GGO=J=C?@(B (<Delete>$(C4B(B $(CAxA$GQ(B $(CA&>n(B $(C9.@Z4B(B $(C>F4OAv88(B -$(C1W715%?!(B $(C;s3dGOAv(B $(C>J557O(B $(CGU=C4Y(B). $(CAY0z(B $(C9.@e@L(B $(C4Y8#5m@L(B C-k$(C?M(B M-k$(C4B(B -C-e$(C?M(B M-e$(C?M(B $(C4Y8(4O4Y(B. +C-f와 M-f에서 시작한 유사성이 <Delete>와 C-d 그리고 M-<Delete>와 M-d로 +이어지는 것을 유의하십시오 (<Delete>는 진정한 제어 문자는 아니지만 +그런데에 상념하지 않도록 합시다). 줄과 문장이 다르듯이 C-k와 M-k는 +C-e와 M-e와 다릅니다. -$(C@O7|@{@N(B $(C9f9}(B $(CGO3*7N(B $(C;g@LD-@G(B $(C>n62(B $(C:N:P55(B $(CAW@O(B $(C<v(B $(C@V=@4O4Y(B. -$(C8U@z(B $(C1W(B $(C:N:P@G(B $(CGQBJ(B $(C3!@87N(B $(C@L5?GX<-(B C-@$(C@L3*(B C-SPC ($(C5Q(B $(CA_(B $(CGO3*(B)$(C8&(B $(CD(4O4Y(B. -$(C1W(B $(C:N:P@G(B $(C4Y8%BJ(B $(C3!@87N(B $(C@L5?GX<-(B C-w$(C8&(B $(CD(4O4Y(B. $(C1W7/8i(B $(C1W(B $(C5N(B -$(C@'D!;g@L@G(B $(C8p5g(B $(C1[?y@:(B $(CAW?)A}4O4Y(B. +일률적인 방법 하나로 사이칸의 어떤 부분도 죽일 수 있습니다. +먼저 그 부분의 한쪽 끝으로 이동해서 C-@이나 C-SPC (둘 중 하나)를 칩니다. +그 부분의 다른쪽 끝으로 이동해서 C-w를 칩니다. 그러면 그 두 +위치사이의 모든 글월은 죽여집니다. ->> $(C1t:}@L8&(B $(C@|(B $(C9.4\@G(B $(C=C@[@N(B `$(C@O(B'$(C@Z7N(B $(C?rAw@L=J=C?@(B. ->> C-SPC$(C8&(B $(CD!=C?@(B. $(C@L8F=:4B(B $(CH-8i@G(B $(C9Y4Z?!(B "Mark set"$(C@L6s4B(B $(C>K828;@;(B - $(C:8?)AY(B $(C0M@T4O4Y(B. ->> $(C1t:}@L8&(B $(C@'(B $(C9.4\@G(B $(C5N9xB0(B $(CAY?!(B $(C@V4B(B `$(C3!(B'$(C@Z7N(B $(C?rAw@L=C?@(B. ->> C-w$(C8&(B $(CD!=C?@(B. $(C1W7/8i(B `$(C@O(B'$(C@Z7N(B $(C=C@[GX<-(B `$(C3!(B'$(C@Z1nAv@G(B $(C1[?y@L(B $(CAW?)Az(B - $(C0M@T4O4Y(B. +>> 깜빡이를 전 문단의 시작인 `일'자로 움직이십시오. +>> C-SPC를 치시오. 이맥스는 화면의 바닥에 "Mark set"이라는 알림말을 + 보여줄 것입니다. +>> 깜빡이를 위 문단의 두번째 줄에 있는 `끝'자로 움직이시오. +>> C-w를 치시오. 그러면 `일'자로 시작해서 `끝'자까지의 글월이 죽여질 + 것입니다. -"$(CAW@L1b(B"$(C?M(B "$(CAv?l1b(B"$(C@G(B $(C4Y8%(B $(CA!@:(B "$(CAW?)Ax(B" $(C1[?y@:(B $(C@gBw(B $(C3"?v3V@;(B $(C<v(B $(C@V4B(B -$(C9]8i(B "$(CAv?vAx(B" $(C0M5i@:(B $(C4Y=C(B $(C3"?v3V@;(B $(C<v(B $(C>x4Y4B(B $(C0M@T4O4Y(B. $(CAW?)Ax(B $(C1[?y@;(B -$(C4Y=C(B $(C;g?kGO4B(B $(C0M@;(B "$(C@b>F4g1b1b(B(yanking)"$(C6s0m(B $(CGU4O4Y(B. $(C@O9]@{@87N(B $(C89@:(B -$(C1[?y@;(B $(CA&0EGO4B(B $(C8m7I@:(B $(C1[?y@;(B $(CAW@L3*(B ($(C1W71(B $(C8m7I5i@:(B $(C1W(B $(C1[?y5i@;(B $(C4Y=C(B -$(C@b>F4g1f(B $(C<v(B $(C@V557O(B $(C1W780T(B $(C<3A$5G>nA.(B $(C@V=@4O4Y(B), $(CGQ(B $(C9.@Z8&(B $(CA&0EGO0E3*(B -$(C:s(B $(CAY(B $(CH$@:(B $(C0x0#9.@Z8&(B $(CA&0EGO4B(B $(C8m7I5i@:(B $(CAv?r@[?k@;(B $(CGU4O4Y(B ($(C1W7!<-(B $(C1W(B -$(C1[?y5i@:(B $(C4Y=C(B $(C@b>F(B $(C4g1f(B $(C<v(B $(C>x=@4O4Y(B). +"죽이기"와 "지우기"의 다른 점은 "죽여진" 글월은 재차 끼워넣을 수 있는 +반면 "지워진" 것들은 다시 끼워넣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. 죽여진 글월을 +다시 사용하는 것을 "잡아당기기(yanking)"라고 합니다. 일반적으로 많은 +글월을 제거하는 명령은 글월을 죽이나 (그런 명령들은 그 글월들을 다시 +잡아당길 수 있도록 그렇게 설정되어져 있습니다), 한 문자를 제거하거나 +빈 줄 혹은 공간문자를 제거하는 명령들은 지움작용을 합니다 (그래서 그 +글월들은 다시 잡아 당길 수 없습니다). ->> $(C1t9Z@L8&(B $(C:q>nA.(B $(C@VAv(B $(C>J@:(B $(CAY@G(B $(C=C@[@87N(B $(C?rAw@L=J=C?@(B. $(C1W8.0m4B(B - C-k$(C8&(B $(CCD<-(B $(C1W(B $(CAY@G(B $(C1[?y@;(B $(CAW@L=J=C?@(B. ->> C-k$(C8&(B $(C4Y=C(B $(CD!=J=C?@(B. $(C1W7/8i(B $(C1W(B $(CAY(B $(C4Y@=?!(B $(C@V4B(B $(C;uAY(B $(C9.@Z0!(B $(CAW?)Av4B(B - $(C0M@;(B $(C:<(B $(C<v(B $(C@V=@4O4Y(B. +>> 깜박이를 비어져 있지 않은 줄의 시작으로 움직이십시오. 그리고는 + C-k를 쳐서 그 줄의 글월을 죽이십시오. +>> C-k를 다시 치십시오. 그러면 그 줄 다음에 있는 새줄 문자가 죽여지는 +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-C-k$(C8&(B $(CGQ(B $(C9x(B $(CD!8i(B $(C1W(B $(CAY@G(B $(C3;?k@;(B $(CAW@L0m(B $(C5N9xB0?!4B(B $(C1W(B $(CAY(B $(C@ZC<8&(B -$(CAW@S@87N<-(B $(C@L>nAv4B(B $(C8p5g(B $(CAY@;(B $(C@'7N(B $(C?C834O4Y(B. C-k$(C4B(B $(C<}@Z(B $(C@N<v8&(B $(CF/:0Hw(B -$(CCk1^GU4O4Y(B: $(C1W(B $(C<}@Z88E-@G(B $(CAY0z(B $(C1W(B $(CAY@G(B $(C3;?k@;(B $(CGT22(B $(CAW@T4O4Y(B. $(C@L0M@:(B -$(C4\<xGQ(B $(C9]:9@L(B $(C>F4U4O4Y(B. C-u 2 C-k$(C4B(B $(C5N(B $(CAY0z(B $(C1W(B $(CAY@G(B $(C;uAY(B $(C9.@Z8&(B -$(CAW@T4O4Y(B; C-k$(C8&(B $(C5N(B $(C9x(B $(CD!8i(B $(C1W78Av(B $(C>J=@4O4Y(B. +C-k를 한 번 치면 그 줄의 내용을 죽이고 두번째에는 그 줄 자체를 +죽임으로서 이어지는 모든 줄을 위로 올립니다. C-k는 숫자 인수를 특별히 +취급합니다: 그 숫자만큼의 줄과 그 줄의 내용을 함께 죽입니다. 이것은 +단순한 반복이 아닙니다. C-u 2 C-k는 두 줄과 그 줄의 새줄 문자를 +죽입니다; C-k를 두 번 치면 그렇지 않습니다. -$(CAW?)Ax(B $(C1[?y@;(B $(C4Y=C(B $(CH8<vGO4B(B $(C0M@;(B "$(C@b>F4g1b1b(B"$(C6s0m(B $(C:N8(4O4Y(B. ($(C4)1:0!0!(B -$(C;/>F0#(B $(C0M@;(B $(C4Y=C(B $(C@b>F(B $(C4g1b4B(B $(C0MC373(B $(C;}0"GO=J=C?@(B.) $(CAW?)Ax(B $(C1[?y@:(B -$(CAW?)Ax(B $(C1W(B $(C0w?!(B $(C4Y=C(B $(C@b>F(B $(C4g0\Az(B $(C<v55(B $(C@VAv88(B $(C;g@LD-@G(B $(C4Y8%(B $(C@e<R?!<-55(B -$(CH$@:(B $(C4Y8%(B $(CFD@O?!<-A6Bw55(B $(C@b>F4g0\Az(B $(C<v(B $(C@V=@4O4Y(B. $(C1W(B $(C1[?y@:(B $(C?)7/9x?!(B -$(C0ICD(B $(C@b>F4g0\A|@87N=a(B $(C?)7/(B $(C:9;g:;@;(B $(C885i0T(B $(C5I(B $(C<v55(B $(C@V=@4O4Y(B. +죽여진 글월을 다시 회수하는 것을 "잡아당기기"라고 부릅니다. (누군가가 +뺏아간 것을 다시 잡아 당기는 것처럼 생각하십시오.) 죽여진 글월은 +죽여진 그 곳에 다시 잡아 당겨질 수도 있지만 사이칸의 다른 장소에서도 +혹은 다른 파일에서조차도 잡아당겨질 수 있습니다. 그 글월은 여러번에 +걸쳐 잡아당겨짐으로써 여러 복사본을 만들게 될 수도 있습니다. -$(C@b>F4g1b1b(B $(C8m7I@:(B C-y$(C@T4O4Y(B. $(C1W7/8i(B $(C0!@e(B $(C86Av87@87N(B $(CAW?)Ax(B $(C1[?y@;(B -$(CGv@g@G(B $(C1t:}@L(B $(C@'D!?!(B $(CH8<v=CE54O4Y(B. +잡아당기기 명령은 C-y입니다. 그러면 가장 마지막으로 죽여진 글월을 +현재의 깜빡이 위치에 회수시킵니다. ->> $(CGX(B $(C:8=J=C?@(B; C-y$(C8&(B $(CCD<-(B $(C1[?y@;(B $(C4Y=C(B $(C@b>F4g1b=J=C?@(B. +>> 해 보십시오; C-y를 쳐서 글월을 다시 잡아당기십시오. -$(CGQ(B $(C0!7ND-?!<-(B C-k$(C8&(B $(C?)7/9x(B $(C>28i(B $(CAW?)Ax(B $(C1[?y5i@L(B $(CGT22(B $(C0%9+8.5G>n(B $(C1W(B $(CAY(B -$(C8p5N8&(B C-y $(CGQ(B $(C9x@87N(B $(C@b>F4g1f(B $(C<v(B $(C@V4Y4B(B $(C0M?!(B $(C@/@GGO=J=C?@(B. +한 가로칸에서 C-k를 여러번 쓰면 죽여진 글월들이 함께 갈무리되어 그 줄 +모두를 C-y 한 번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십시오. ->> C-k$(C8&(B $(C?)7/9x(B $(CCD<-(B $(C1W(B $(C0M@;(B $(CGX(B $(C:8=J=C?@(B. +>> C-k를 여러번 쳐서 그 것을 해 보십시오. -$(CAW?)Ax(B $(C1[?y@;(B $(CH8<vGO1b(B $(C@'GX<-4B(B: +죽여진 글월을 회수하기 위해서는: ->> C-y$(C8&(B $(CD!=J=C?@(B. $(C1W8.0m4B(B $(C1t9Z@L8&(B $(C8n(B $(CAY(B $(C>F7!7N(B $(C?rAw?)<-(B C-y$(C8&(B $(C4Y=C(B - $(CD!=J=C?@(B. $(C1[?y@L(B $(C>n6;0T(B $(C:9;g5G4B0!8&(B $(C>K(B $(C<v(B $(C@V=@4O4Y(B. +>> C-y를 치십시오. 그리고는 깜박이를 몇 줄 아래로 움직여서 C-y를 다시 + 치십시오. 글월이 어떻게 복사되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. -$(C4Y=C(B $(C@b>F4g1f(B $(C1[?y@L(B $(C@V4B5%(B $(C4Y8%(B $(C0M@;(B $(C6G(B $(CAW@L8i(B $(C>n6;0T(B $(C5G0Z=@4O1n(B? -C-y$(C4B(B $(C4u(B $(CCV1Y?!(B $(CAW?)Ax(B $(C0M@;(B $(C@b>F4g1f(B $(C0M@T4O4Y(B. $(C1W7/3*(B $(C1W(B $(C@|@G(B $(C1[?y@:(B -$(C@R>n9v80(B $(C0M@L(B $(C>F4U4O4Y(B. $(C1W(B $(C0M@:(B M-y $(C8m7I@;(B $(C=a<-(B $(CH8<vGR(B $(C<v(B $(C@V=@4O4Y(B. -$(C0!@e(B $(CCV=E?!(B $(CAW?)Ax(B $(C1[?y@;(B C-y$(C7N(B $(CH8<vGQ(B $(CHD(B M-y$(C8&(B $(CD!8i(B $(C1W(B $(C@b>F4g0\A34x(B -$(C1[?y@L(B $(C1W(B $(C@|?!(B $(CAW?)Ax(B $(C0M@87N(B $(C;u7N9Y2n>nA}4O4Y(B(replace). M-y$(C8&(B $(CC$Bw(B -$(C?,0EG*(B $(CD!8i(B $(C@L@|?!(B $(CAW?)Ax(B $(C0M5i@L(B $(CBw7J7N(B $(C3*?I4O4Y(B. $(CC#0m@Z(B $(CGO4B(B $(C1[?y@L(B -$(C3*?@8i(B $(C4Y8%(B $(C@O@;(B $(CGR(B $(CGJ?d0!(B $(C>x=@4O4Y(B. $(C4\<xHw(B $(CFmA}@;(B $(C0h<SGO8i(B -$(C@b>F4g0\Ax(B $(C1[?y@L(B $(C1W0w?!(B $(C32>F(B $(C@V0T(B $(C5K4O4Y(B. +다시 잡아당길 글월이 있는데 다른 것을 또 죽이면 어떻게 되겠습니까? +C-y는 더 최근에 죽여진 것을 잡아당길 것입니다. 그러나 그 전의 글월은 +잃어버린 것이 아닙니다. 그 것은 M-y 명령을 써서 회수할 수 있습니다. +가장 최신에 죽여진 글월을 C-y로 회수한 후 M-y를 치면 그 잡아당겨졌던 +글월이 그 전에 죽여진 것으로 새로바뀌어집니다(replace). M-y를 채차 +연거푸 치면 이전에 죽여진 것들이 차례로 나옵니다. 찾고자 하는 글월이 +나오면 다른 일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. 단순히 편집을 계속하면 +잡아당겨진 글월이 그곳에 남아 있게 됩니다. -M-y$(C8&(B $(C0h<S(B $(CD!8i(B $(CCb9_A!(B ($(C0!@e(B $(CCV1Y?!(B $(CAW?)Ax(B $(C0M(B)$(C@87N(B $(C5G59>F(B $(C?I4O4Y(B. +M-y를 계속 치면 출발점 (가장 최근에 죽여진 것)으로 되돌아 옵니다. ->> $(CGQ(B $(CAY@;(B $(CAW@L0m(B $(CAV@'7N(B $(C?rAw@N(B $(CHD(B $(C4Y8%(B $(CAY@;(B $(CAW@L=J=C?@(B. - $(C1W8.0m4B(B C-y$(C7N(B $(C5N9xB0(B $(CAW?)Ax(B $(CAY@;(B $(CH8<vGO=J=C?@(B. - $(C1W71(B $(C4Y@=?!(B M-y$(C8&(B $(CD!8i(B $(CC99xB0?!(B $(CAW?)Ax(B $(CAY7N(B $(C;u7N9Y2n0T(B $(C5K4O4Y(B. - M-y$(C8&(B $(C4u(B $(CCD<-(B $(C9+>y@L(B $(C3*?@4B0!8&(B $(C:8=J=C?@(B. $(C5N9xB0(B $(CAW?)Ax(B $(CAY@L(B $(C3*?C(B - $(C6'1n4O(B $(C1W780T(B $(C0h<S(B $(CGQ(B $(CHD(B $(C8n(B $(C9x(B $(C4u(B $(CGO=J=C?@(B. - $(C?xGO8i(B, M-y$(C?!(B $(C>g<v3*(B $(C@=<v@G(B $(C@N<v8&(B $(CAY(B $(C<v(B $(C@V=@4O4Y(B. +>> 한 줄을 죽이고 주위로 움직인 후 다른 줄을 죽이십시오. + 그리고는 C-y로 두번째 죽여진 줄을 회수하십시오. + 그런 다음에 M-y를 치면 첫번째에 죽여진 줄로 새로바뀌게 됩니다. + M-y를 더 쳐서 무엇이 나오는가를 보십시오. 두번째 죽여진 줄이 나올 + 때까니 그렇게 계속 한 후 몇 번 더 하십시오. + 원하면, M-y에 양수나 음수의 인수를 줄 수 있습니다. -* $(C9+8#1b(B +* 무르기 -------- -$(C1[?y@;(B $(C:/0fGO0m<-(B $(C1W(B $(C0M@L(B $(C=G<v?4@=@;(B $(C>K0T(B $(C5G8i(B $(C9+8#1b(B(undo) $(C8m7I(B, C-x -u$(C7N(B $(C:/0f;gGW@;(B $(C9+8&(B $(C<v(B $(C@V=@4O4Y(B. +글월을 변경하고서 그 것이 실수였음을 알게 되면 무르기(undo) 명령, C-x +u로 변경사항을 무를 수 있습니다. -$(C:8Ek(B, C-x u$(C4B(B $(CGO3*@G(B $(C8m7I?!(B $(C@GGX(B $(C:/0f5H(B $(C;gGW@;(B $(C9+8(4O4Y(B; $(CGQ(B $(C0!7ND-?!<-(B -C-x u$(C8&(B $(C?)7/9x(B $(C9]:9GO8i(B $(C0"0"@G(B $(C9]:9@:(B $(CC_0!@{@87N(B $(C8m7I@;(B $(C9+8(4O4Y(B. +보통, C-x u는 하나의 명령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무릅니다; 한 가로칸에서 +C-x u를 여러번 반복하면 각각의 반복은 추가적으로 명령을 무릅니다. -$(C1W7/3*(B $(C5N0!Av(B $(C?9?\0!(B $(C@V=@4O4Y(B: $(C1[?y@;(B $(C:/0fGOAv(B $(C>J4B(B $(C8m7I@:(B $(C0m7A(B -$(C4k;s?!<-(B $(CA&?\5K4O4Y(B ($(C?)1b?!4B(B $(C1t9Z@L8&(B $(C?rAw@L4B(B $(C8m7I0z(B $(CH-8i(B $(C5N7g8;1b(B -$(C8m7I@L(B $(C@V=@4O4Y(B). $(C1W8.0m(B $(C@ZC<3"?l1b(B(self-inserting) $(C9.@Z5i@:(B -$(CFr;s@{@87N(B 20$(C031nAv@G(B $(CA}4\@87N(B $(CC38.5K4O4Y(B. ($(C@L4B(B $(C1[?y(B $(C3"?l1b8&(B $(C9+8#1b(B -$(C@'GX<-(B $(CE8@ZGX>_(B $(CGO4B(B C-x u$(C@G(B $(C<v8&(B $(CAY@L1b(B $(C@'GT@T4O4Y(B.) +그러나 두가지 예외가 있습니다: 글월을 변경하지 않는 명령은 고려 +대상에서 제외됩니다 (여기에는 깜박이를 움직이는 명령과 화면 두루말기 +명령이 있습니다). 그리고 자체끼우기(self-inserting) 문자들은 +평상적으로 20개까지의 집단으로 처리됩니다. (이는 글월 끼우기를 무르기 +위해서 타자해야 하는 C-x u의 수를 줄이기 위함입니다.) ->> $(C@L(B $(CAY@;(B C-k$(C7N(B $(CAW@N(B $(CHD(B C-x u$(C8&(B $(CD!8i(B $(CAY@L(B $(C4Y=C(B $(C3*E83/(B $(C0M@T4O4Y(B. +>> 이 줄을 C-k로 죽인 후 C-x u를 치면 줄이 다시 나타날 것입니다. -C-_$(C4B(B $(C9+8#1b(B $(C8m7I@G(B $(C4Y8%(B $(CG|EB@T4O4Y(B; C-x u$(C?M(B $(C00@:(B $(C@[?k@;(B $(CGOAv88(B $(CGQ(B -$(C0!7ND-?!<-(B $(C?)7/9x(B $(CE8@ZGO1b?!(B $(CFmGU4O4Y(B. C-_$(C@G(B $(C4\A!@:(B, $(C>n62(B -$(C1[<hFG?!<-4B(B $(C@L(B $(C0M@;(B $(C>n6;0T(B $(CE8@ZGX>_(B $(C5G4B0!0!(B $(C:R8m7aGO4Y4B(B $(C0M@T4O4Y(B. -$(C1W7!<-(B C-x u$(C55(B $(C;g?kGR(B $(C<v(B $(C@V557O(B $(C5G>n(B $(C@V4B(B $(C0M@T4O4Y(B. $(C>n62(B -$(C4\8;1b?!<-4B(B, CONTROL$(C<h8&(B $(C4)8%(B $(C;sEB?!<-(B /$(C8&(B $(CD'@87N=a(B C-_$(C8&(B $(CD%(B $(C<v(B -$(C@V=@4O4Y(B. +C-_는 무르기 명령의 다른 형태입니다; C-x u와 같은 작용을 하지만 한 +가로칸에서 여러번 타자하기에 편합니다. C-_의 단점은, 어떤 +글쇠판에서는 이 것을 어떻게 타자해야 되는가가 불명료하다는 것입니다. +그래서 C-x u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입니다. 어떤 +단말기에서는, CONTROL쇠를 누른 상태에서 /를 침으로써 C-_를 칠 수 +있습니다. -C-_$(C3*(B C-x u$(C@G(B $(C<}@Z(B $(C@N<v4B(B $(C9]:9(B $(CH=<v7N(B $(C;g?k5K4O4Y(B. +C-_나 C-x u의 숫자 인수는 반복 횟수로 사용됩니다. -$(C1[?y@G(B $(CAv?l1b8&(B $(C9+8#4B(B $(C0M@:(B $(C1[?y(B $(CAW@L1b8&(B $(C9+8#4B(B $(C0M0z(B $(C00@:(B $(C=D@87N(B -$(CGU4O4Y(B. $(C>n62(B $(C0M@;(B $(CAW@L4B(B $(C0M0z(B $(CAv?l4B(B $(C0M@G(B $(CBw@LA!@:(B C-y$(C7N(B $(C@b>F4g1f(B $(C<v(B -$(C@V4@3D4B(B $(C;g=G?!(B $(C@V=@4O4Y(B; $(C9+8#1b?!4B(B $(CBw@LA!@L(B $(C>x=@4O4Y(B. +글월의 지우기를 무르는 것은 글월 죽이기를 무르는 것과 같은 식으로 +합니다. 어떤 것을 죽이는 것과 지우는 것의 차이점은 C-y로 잡아당길 수 +있느냐는 사실에 있습니다; 무르기에는 차이점이 없습니다. -* $(CFD@O(B +* 파일 ------ -$(CFmA}GQ(B $(C1[?y@;(B $(C?518@{@87N(B $(CGO1b(B $(C@'GX<-4B(B $(CFD@O?!(B $(C3V>n(B $(C5N>n>_(B $(CGU4O4Y(B. -$(C1W780T(B $(CGOAv(B $(C>J@88i(B, $(C@L8F=:0!(B $(C>x>nA|0z(B $(CGT22(B $(C1[?y55(B $(C;g6sA}4O4Y(B. $(C1[?y@;(B -$(CFD@O?!(B $(C3V1b(B $(C@'GX<-4B(B $(C1W7/1b(B $(C@|?!(B $(C1W(B $(CFD@O@;(B "$(CC#>F>_(B" $(CGU4O4Y(B. ($(C@L4B(B -$(CFD@O@;(B "$(C9f9.GO4B(B $(C0M(B"$(C@L6s0m55(B $(CGU4O4Y(B.) +편집한 글월을 영구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파일에 넣어 두어야 합니다. +그렇게 하지 않으면, 이맥스가 없어짐과 함께 글월도 사라집니다. 글월을 +파일에 넣기 위해서는 그러기 전에 그 파일을 "찾아야" 합니다. (이는 +파일을 "방문하는 것"이라고도 합니다.) -$(CFD@O@;(B $(CC#4B4Y4B(B $(C0M@:(B $(C@L8F=:(B $(C>H?!<-(B $(C1W(B $(CFD@O@G(B $(C3;?k@;(B $(C:;4Y4B(B $(C0M@;(B -$(C@G9LGU4O4Y(B. $(C?)7/0!Av(B $(C8i?!<-(B, $(C1W0M@:(B $(C1W(B $(CFD@O(B $(C@ZC<8&(B $(CFmA}GO7A4B(B $(C0M0z(B -$(C4Y8'>x=@4O4Y(B. $(C1W7/3*(B, $(C@L8F=:7N(B $(C:/0fGQ(B $(C;gGW@:(B $(C1W(B $(CFD@O@;(B "$(C0%9+8.(B"$(CGO1b(B -$(C@|1nAv4B(B $(C?518@{@LAv(B $(C8xGU4O4Y(B. $(C@L4B(B $(C@}9]Bk(B $(C:/0f5H(B $(CFD@O@;(B $(C?xD!(B $(C>J0T(B -$(C?n?5(B $(CC<0h?!(B $(C320\(B $(C5N4B(B $(C0M@;(B $(CGGGO1b(B $(C@'GX<-(B $(C1W78=@4O4Y(B. $(C0%9+8.8&(B $(CGX55(B -$(C@L8F=:4B(B $(C:/0f(B $(C;gGW@L(B $(C3*A_?!(B $(C=G<v?44Y0m(B $(C0aA$5G4B(B $(C0f?l8&(B $(C0(>HGX(B $(C1Y?x(B -$(CFD@O@;(B $(C:/0f5H(B $(C@L8'@87N(B $(C320\5S4O4Y(B. +파일을 찾는다는 것은 이맥스 안에서 그 파일의 내용을 본다는 것을 +의미합니다. 여러가지 면에서, 그것은 그 파일 자체를 편집하려는 것과 +다름없습니다. 그러나, 이맥스로 변경한 사항은 그 파일을 "갈무리"하기 +전까지는 영구적이지 못합니다. 이는 절반쯤 변경된 파일을 원치 않게 +운영 체계에 남겨 두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그렇습니다. 갈무리를 해도 +이맥스는 변경 사항이 나중에 실수였다고 결정되는 경우를 감안해 근원 +파일을 변경된 이름으로 남겨둡니다. -$(CH-8i@G(B $(C9Y4Z(B $(C0!1n@L8&(B $(C:88i(B "--:-- TUTORIAL.ko"$(C?M(B $(C00@:(B $(C=D@87N(B $(C=C@[GO4B(B, -$(C4k=C(B $(C9.@Z7N(B $(C=C@[GX<-(B $(C4k=C(B $(C9.@Z7N(B $(C3!3*4B(B $(CAY@L(B $(C@V@;(B $(C0M@T4O4Y(B. $(CH-8i@G(B $(C@L(B -$(C:N:P@:(B $(C:8Ek(B, $(C9f9.GO0m(B $(C@V4B(B $(CFD@O@G(B $(C@L8'@;(B $(C:8?)(B $(CA]4O4Y(B. $(CAv1]@:(B $(C@L8F=:(B -$(CAvD'<-@G(B $(C:9;g:;@N(B "TUTORIAL.ko"$(C6s4B(B $(CFD@O@;(B $(C9f9.GO0m(B $(C@V4B(B $(CA_@T4O4Y(B. -$(C@L8F=:7N(B $(CFD@O(B $(CC#1b8&(B $(CGO8i(B $(CA$H.Hw(B $(C1W(B $(C0w?!(B $(CFD@O@G(B $(C@L8'@L(B $(C3*E8334O4Y(B. +화면의 바닥 가까이를 보면 "--:-- TUTORIAL.ko"와 같은 식으로 시작하는, +대시 문자로 시작해서 대시 문자로 끝나는 줄이 있을 것입니다. 화면의 이 +부분은 보통, 방문하고 있는 파일의 이름을 보여 줍니다. 지금은 이맥스 +지침서의 복사본인 "TUTORIAL.ko"라는 파일을 방문하고 있는 중입니다. +이맥스로 파일 찾기를 하면 정확히 그 곳에 파일의 이름이 나타납니다. -$(CFD@O(B $(CC#1b(B $(C8m7I@G(B $(CF/:0GQ(B $(CA!@:(B $(C?xGO4B(B $(CFD@O@G(B $(C@L8'@;(B $(C8;GX>_(B $(CGO4B(B -$(C0M@T4O4Y(B. $(C8m7I@L(B "$(C4\8;1b7N:NEM(B $(C@N<v8&(B $(C@P4B4Y(B"$(C6s0m(B $(CGU4O4Y(B ($(C@L(B $(C0f?l(B, -$(C@N<v4B(B $(CFD@O@G(B $(C@L8'@T4O4Y(B). $(C>F7!@G(B $(C8m7I@;(B $(CD!0m(B $(C3*8i(B +파일 찾기 명령의 특별한 점은 원하는 파일의 이름을 말해야 하는 +것입니다. 명령이 "단말기로부터 인수를 읽는다"라고 합니다 (이 경우, +인수는 파일의 이름입니다). 아래의 명령을 치고 나면 - C-x C-f $(CFD@O(B $(CC#1b(B + C-x C-f 파일 찾기 -$(C@L8F=:4B(B $(CFD@O@G(B $(C@L8'@;(B $(CD!6s0m(B $(C?d18GU4O4Y(B. $(CFD@O(B $(C@L8'@;(B $(CD!8i(B $(CH-8i@G(B $(C9Y4Z(B -$(CAY?!(B $(C@L8'@L(B $(C3*E8334O4Y(B. $(C@L71(B $(CA>7y@G(B $(C@T7B?!(B $(C>2@O(B $(C6'?!4B(B $(C9Y4Z(B $(CAY@;(B $(C@[@:(B -$(C;g@LD-(B(minibuffer)$(C@L6s0m(B $(C:N8(4O4Y(B. $(CFr;s=C?!(B $(C>24B(B $(C@L8F=:@G(B $(CFmA}(B -$(C8m7I@87N(B $(CFD@O(B $(C@L8'@;(B $(CFmA}GR(B $(C<v(B $(C@V=@4O4Y(B. +이맥스는 파일의 이름을 치라고 요구합니다. 파일 이름을 치면 화면의 바닥 +줄에 이름이 나타납니다. 이런 종류의 입력에 쓰일 때에는 바닥 줄을 작은 +사이칸(minibuffer)이라고 부릅니다. 평상시에 쓰는 이맥스의 편집 +명령으로 파일 이름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. -$(CFD@O(B $(C@L8'@;(B ($(CH$@:(B $(C8p5g(B $(CA>7y@G(B $(C@[@:(B $(C;g@LD-(B $(C@T7B@;(B) $(C3V@;(B $(C6'(B, $(C8m7I@G(B -$(CCk<R4B(B C-g$(C7N(B $(CGU4O4Y(B. +파일 이름을 (혹은 모든 종류의 작은 사이칸 입력을) 넣을 때, 명령의 +취소는 C-g로 합니다. ->> C-x C-f$(C8&(B $(CD!0m(B C-g$(C8&(B $(CD!=J=C?@(B. $(C@L4B(B $(C@[@:(B $(C;g@LD-@;(B $(CCk<RGO0m(B $(C6G(B, - $(C@[@:(B $(C;g@LD-@;(B $(C>20m(B $(C@V4B(B C-x C-f $(C8m7I55(B $(CCk<RGU4O4Y(B. $(C1W7/9G7N(B $(C>F9+(B - $(CFD@O55(B $(CC#Av(B $(C>J4B(B $(C0M@T4O4Y(B. +>> C-x C-f를 치고 C-g를 치십시오. 이는 작은 사이칸을 취소하고 또, + 작은 사이칸을 쓰고 있는 C-x C-f 명령도 취소합니다. 그러므로 아무 + 파일도 찾지 않는 것입니다. -$(CFD@O(B $(C@L8'@;(B $(C4Y(B $(C1b@TG_@88i(B <Return>$(C@;(B $(CCD<-(B $(CA>7aGO=J=C?@(B. $(C1W7/8i(B C-x -C-f $(C8m7I@L(B $(C@[5?5G>n(B $(C<1EC5H(B $(CFD@O@;(B $(CC#1b(B $(C=C@[GU4O4Y(B. C-x C-f $(C8m7I@L(B -$(C3!3*8i(B $(C@[@:(B $(C;g@LD-@:(B $(C;g6sA}4O4Y(B. +파일 이름을 다 기입했으면 <Return>을 쳐서 종료하십시오. 그러면 C-x +C-f 명령이 작동되어 선택된 파일을 찾기 시작합니다. C-x C-f 명령이 +끝나면 작은 사이칸은 사라집니다. -$(C@a=C(B $(CHD?!4B(B $(CFD@O@G(B $(C3;?k@L(B $(CH-8i?!(B $(C3*E83*0m(B $(C1W(B $(C3;?k@;(B $(CFmA}GR(B $(C<v(B $(C@V0T(B -$(C5K4O4Y(B. $(C:/0f(B $(C;gGW@;(B $(C?518@{@87N(B $(CGO0m(B $(C=M@88i(B $(C4Y@=@G(B $(C8m7I@;(B $(CD(4O4Y(B. +잠시 후에는 파일의 내용이 화면에 나타나고 그 내용을 편집할 수 있게 +됩니다. 변경 사항을 영구적으로 하고 싶으면 다음의 명령을 칩니다. - C-x C-s $(CFD@O(B $(C0%9+8.(B + C-x C-s 파일 갈무리 -$(C@L(B $(C8m7I@:(B $(C@L8F=:(B $(C3;@G(B $(C1[?y@;(B $(CFD@O?!(B $(C:9;gGU4O4Y(B. $(C@L(B $(C8m7I@L(B $(CC99xB07N(B -$(C<vG`5I(B $(C6'4B(B $(C@L8F=:0!(B $(C1Y?x(B $(CFD@O@;(B $(C;u(B $(C@L8'@87N(B $(C9Y2Y>n(B $(C3u@=@87N=a(B $(C@R>n9v81(B -$(C?l7A8&(B $(C9fAvGU4O4Y(B. $(C;u(B $(C@L8'@:(B $(C1Y?x(B $(CFD@O(B $(C@L8'@G(B $(C3!?!(B "~"$(C@;(B $(C4uGT@87N=a(B -$(C885i>nA}4O4Y(B. +이 명령은 이맥스 내의 글월을 파일에 복사합니다. 이 명령이 첫번째로 +수행될 때는 이맥스가 근원 파일을 새 이름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잃어버릴 +우려를 방지합니다. 새 이름은 근원 파일 이름의 끝에 "~"을 더함으로써 +만들어집니다. -$(C0%9+8.0!(B $(C3!3*8i(B $(C@L8F=:4B(B $(C>2?)Ax(B $(CFD@O@G(B $(C@L8'@;(B $(C@N<bGU4O4Y(B. $(CFD@O@:(B $(C>FAV(B -$(C@ZAV(B $(C0%9+8.GT@87N=a(B $(C?n?5(B $(CC<0h0!(B $(C?M8#8#(B $(C9+3JA.55(B $(C89@:(B $(C@[>w@L(B $(C<U=G5GAv(B -$(C>J557O(B $(CGU4O4Y(B. +갈무리가 끝나면 이맥스는 쓰여진 파일의 이름을 인쇄합니다. 파일은 아주 +자주 갈무리함으로써 운영 체계가 와르르 무너져도 많은 작업이 손실되지 +않도록 합니다. ->> C-x C-s$(C8&(B $(CCD<-(B $(CAvD'<-@G(B $(C:9;g:;@;(B $(C0%9+8.(B $(CGO=J=C?@(B. - $(C1W7/8i(B "Wrote ...TUTORIAL.ko"$(C6s0m(B $(CH-8i@G(B $(C9Y4Z?!(B $(C@N<b5I(B $(C0M@T4O4Y(B. +>> C-x C-s를 쳐서 지침서의 복사본을 갈무리 하십시오. + 그러면 "Wrote ...TUTORIAL.ko"라고 화면의 바닥에 인쇄될 것입니다. -$(C:80E3*(B $(CFmA}GO1b(B $(C@'GX(B, $(CA8@gGO4B(B $(CFD@O@;(B $(CC#@;(B $(C<v(B $(C@V=@4O4Y(B. $(C6GGQ(B $(CA8@gGOAv(B -$(C>J4B(B $(CFD@O55(B $(CC#@;(B $(C<v(B $(C@V=@4O4Y(B. $(C@L780T(B $(CGO8i(B $(C@L8F=:7N(B $(CFD@O@;(B $(C885i0T(B -$(C5K4O4Y(B: $(C:s(B $(C3;?k@87N(B $(C=C@[5G4B(B $(CFD@O@;(B $(CC#>F<-(B $(C1[?y@;(B $(C3"?l1b(B $(C=C@[GU4O4Y(B. -$(CFD@O@;(B "$(C0%9+8.(B"$(CGO557O(B $(C?dC;GO8i(B $(C@L8F=:4B(B $(C3"?vAx(B $(C1[?y@;(B $(C3;?k@87N(B $(CGO4B(B -$(CFD@O@;(B $(C=GA&7N(B $(C885i>n(B $(C3@4O4Y(B. $(C1W71(B $(CHD?!4B(B $(C@L(B $(CFD@O@:(B $(C@L9L(B $(CA8@gGO4B(B -$(CFD@O@L(B $(C5K4O4Y(B. +보거나 편집하기 위해, 존재하는 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. 또한 존재하지 +않는 파일도 찾을 수 있습니다. 이렇게 하면 이맥스로 파일을 만들게 +됩니다: 빈 내용으로 시작되는 파일을 찾아서 글월을 끼우기 시작합니다. +파일을 "갈무리"하도록 요청하면 이맥스는 끼워진 글월을 내용으로 하는 +파일을 실제로 만들어 냅니다. 그런 후에는 이 파일은 이미 존재하는 +파일이 됩니다. -* $(C;g@LD-(B +* 사이칸 -------- -$(C5N9xB0(B $(CFD@O@;(B C-x C-f$(C7N(B $(CC#@88i(B, $(CC99xB0(B $(CFD@O@:(B $(C@L8F=:@G(B $(C3;:N?!(B $(C32>F(B -$(C@V=@4O4Y(B. $(C1W(B $(CFD@O@:(B C-x C-f$(C7N(B $(C@gBw(B $(CC#@=@87N<-(B $(C4Y=C(B $(C>y9Y2\(B $(C<v(B -$(C@V=@4O4Y(B. $(C@L71(B $(C=D@87N(B $(C8E?l(B $(C89@:(B $(C<v@G(B $(CFD@O5i@;(B $(C@L8F=:(B $(C3;:N?!(B $(C:R7/(B $(C5i@O(B -$(C<v(B $(C@V=@4O4Y(B. +두번째 파일을 C-x C-f로 찾으면, 첫번째 파일은 이맥스의 내부에 남아 +있습니다. 그 파일은 C-x C-f로 재차 찾음으로서 다시 엇바꿀 수 +있습니다. 이런 식으로 매우 많은 수의 파일들을 이맥스 내부에 불러 들일 +수 있습니다. ->> C-x C-f foo <Return>$(C@;(B $(CCD<-(B "foo"$(C6s4B(B $(C@L8'@G(B $(CFD@O@;(B $(C885e=J=C?@(B. - $(C1W8.0m4B(B $(C1[?y@;(B $(C3"?l0m(B $(CFmA}GO?)(B C-x C-s$(C7N(B "foo"$(C8&(B $(C0%9+8.GO=J=C?@(B. - $(C86Av87@87N(B, C-x C-f TUTORIAL.ko <Return>$(C@;(B $(CCD<-(B $(CAvD'<-7N(B $(C4Y=C(B $(C59>F(B - $(C?@=J=C?@(B. +>> C-x C-f foo <Return>을 쳐서 "foo"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드십시오. + 그리고는 글월을 끼우고 편집하여 C-x C-s로 "foo"를 갈무리하십시오. + 마지막으로, C-x C-f TUTORIAL.ko <Return>을 쳐서 지침서로 다시 돌아 + 오십시오. -$(C@L8F=:4B(B $(C0"(B $(CFD@O@G(B $(C1[?y@;(B "$(C;g@LD-(B"$(C@L6s0m(B $(C:R8.?l4B(B $(C0M(B $(C>H?!(B $(C@z@eGU4O4Y(B. -$(CFD@O@;(B $(CC#4B(B $(C0M@:(B $(C@L8F=:@G(B $(C3;:N?!(B $(C;u(B $(C;g@LD-@;(B $(C885e4B(B $(C0M0z(B $(C00=@4O4Y(B. -$(C@L8F=:@G(B $(C@O7N(B $(CGvA8GO0m(B $(C@V4B(B $(C;g@LD-@G(B $(C8q7O@;(B $(C:81b(B $(C@'GX<-4B(B $(C4Y@=0z(B $(C00@L(B -$(CD!=J=C?@(B. +이맥스는 각 파일의 글월을 "사이칸"이라고 불리우는 것 안에 저장합니다. +파일을 찾는 것은 이맥스의 내부에 새 사이칸을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. +이맥스의 일로 현존하고 있는 사이칸의 목록을 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+치십시오. - C-x C-b $(C;g@LD-(B $(C8q7O(B + C-x C-b 사이칸 목록 ->> C-x C-b$(C8&(B $(CAv1](B $(CCD(B $(C:8=J=C?@(B. +>> C-x C-b를 지금 쳐 보십시오. -$(C0"(B $(C;g@LD-@L(B $(C>n62(B $(C@L8'@;(B $(C0.0m(B $(C@V4B0!(B $(C:8=J=C?@(B. $(C;g@LD-@:(B $(C0#AwGO0m(B $(C@V4B(B -$(C1[?y@G(B $(C8pC<0!(B $(C5G4B(B $(CFD@O@G(B $(C@L8'@;(B $(C0.0m(B $(C@V@;(B $(C<v55(B $(C@V=@4O4Y(B. $(C>n62(B -$(C;g@LD-5i@:(B $(CFD@O0z(B $(C9+0|GU4O4Y(B. $(C?98&(B $(C5i>n(B, "*Buffer List*"$(C6s4B(B $(C;g@LD-@:(B -$(C>F9+(B $(CFD@O55(B $(C0.0m(B $(C@VAv(B $(C>J=@4O4Y(B. $(C@L(B $(C;g@LD-@:(B C-x C-b$(C7N(B $(C885i>nAx(B $(C;g@LD-(B -$(C8q7O@;(B $(C4c0m(B $(C@V@;(B $(C;S@T4O4Y(B. $(C@L8F=:(B $(CC"(B $(C>H?!<-(B $(C:<(B $(C<v(B $(C@V4B(B $(C8p5g(B $(C1[?y@:(B -$(C>n62(B $(C;g@LD-@G(B $(C@O:N:P(B $(C@T4O4Y(B. +각 사이칸이 어떤 이름을 갖고 있는가 보십시오. 사이칸은 간직하고 있는 +글월의 모체가 되는 파일의 이름을 갖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. 어떤 +사이칸들은 파일과 무관합니다. 예를 들어, "*Buffer List*"라는 사이칸은 +아무 파일도 갖고 있지 않습니다. 이 사이칸은 C-x C-b로 만들어진 사이칸 +목록을 담고 있을 뿐입니다. 이맥스 창 안에서 볼 수 있는 모든 글월은 +어떤 사이칸의 일부분 입니다. ->> C-x 1$(C@;(B $(CCD<-(B $(C;g@LD-(B $(C8q7O@;(B $(C>x>V=J=C?@(B. +>> C-x 1을 쳐서 사이칸 목록을 없애십시오. -$(CGQ(B $(CFD@O@G(B $(C1[?y@;(B $(C:/0fGQ(B $(CHD(B $(C4Y8%(B $(CFD@O@;(B $(CC#@88i(B $(CC99xB0(B $(CFD@O@:(B $(C0%9+8.5GAv(B -$(C>J@:(B $(C0M@T4O4Y(B. $(C1W(B $(C:/0f(B $(C;gGW@:(B $(C@L8F=:(B $(C3;:N@G(B $(CFD@O(B $(C;g@LD-?!88(B $(C32>F(B -$(C@V=@4O4Y(B. $(C5N9xB0(B $(CFD@O@G(B $(C;g@LD-@;(B $(C885i0E3*(B $(CFmA}GO4B(B $(C0M@:(B $(CC99xB0(B $(CFD@O@G(B -$(C;g@LD-?!(B $(C@|Gt(B $(C?5Gb@;(B $(CAVAv(B $(C>J=@4O4Y(B. $(C@L4B(B $(C8E?l(B $(C@/?kGO1b4B(B $(CGO3*(B $(C4Y8%(B -$(C8i?!<-4B(B $(CC99xB0(B $(CFD@O@G(B $(C;g@LD-@;(B $(C0%9+8.GR(B $(C<v(B $(C@V4B(B $(C0#FmGQ(B $(C4Y8%(B $(C9f9}@L(B -$(CGJ?dGO4Y4B(B $(C0M@;(B $(C@G9LGU4O4Y(B. C-x C-f$(C8&(B $(CCD<-(B $(C1W(B $(C;g@LD-@87N(B $(C>y9Y2[(B $(CHD(B -C-x C-s$(C7N(B $(C0%9+8.GO4B(B $(C0M@:(B $(C1MBz@:(B $(C@O@T4O4Y(B. $(C1W7!<-(B $(C4Y@=0z(B $(C00@:(B $(C8m7I@L(B -$(C@V=@4O4Y(B +한 파일의 글월을 변경한 후 다른 파일을 찾으면 첫번째 파일은 갈무리되지 +않은 것입니다. 그 변경 사항은 이맥스 내부의 파일 사이칸에만 남아 +있습니다. 두번째 파일의 사이칸을 만들거나 편집하는 것은 첫번째 파일의 +사이칸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. 이는 매우 유용하기는 하나 다른 +면에서는 첫번째 파일의 사이칸을 갈무리할 수 있는 간편한 다른 방법이 +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C-x C-f를 쳐서 그 사이칸으로 엇바꾼 후 +C-x C-s로 갈무리하는 것은 귀찮은 일입니다. 그래서 다음과 같은 명령이 +있습니다 - C-x s $(C8n8n(B $(C;g@LD-(B $(C0%9+8.(B + C-x s 몇몇 사이칸 갈무리 -C-x s$(C4B(B, $(C:/0f5G>zAv88(B $(C0%9+8.5GAv(B $(C>J@:(B $(C;g@LD-@L(B $(C@V3*(B $(CA6;gGX(B $(C:>4O4Y(B. -$(C1W8.0m4B(B $(C1W71(B $(C;g@LD-5i?!(B $(C4kGX<-(B $(C1W(B $(C0M@;(B $(C0%9+8.GR(B $(C0M@N0!8&(B $(C90>n(B -$(C:>4O4Y(B. +C-x s는, 변경되었지만 갈무리되지 않은 사이칸이 있나 조사해 봅니다. +그리고는 그런 사이칸들에 대해서 그 것을 갈무리할 것인가를 물어 +봅니다. ->> $(CGQ(B $(CAY@G(B $(C1[?y@;(B $(C3"?n(B $(CHD(B C-x s$(C8&(B $(CD!=J=C?@(B. - $(C1W7/8i(B TUTORIAL.ko$(C6s4B(B $(C@L8'@G(B $(C;g@LD-@;(B $(C0%9+8.GR(B $(C0M@NAv(B $(C90>n(B $(C:<(B - $(C0M@T4O4Y(B. "y"$(C8&(B $(CCD<-(B $(C90@=?!(B $(C?96s0m(B $(C4dGO=J=C?@(B. +>> 한 줄의 글월을 끼운 후 C-x s를 치십시오. + 그러면 TUTORIAL.ko라는 이름의 사이칸을 갈무리할 것인지 물어 볼 + 것입니다. "y"를 쳐서 물음에 예라고 답하십시오. -* $(C8m7I>n@G(B $(CH.@e(B +* 명령어의 확장 --------------- -$(C@L8F=:@G(B $(C8m7I>n4B(B $(C3J9+(B $(C89>F<-(B $(C@L(B $(C8p5g(B $(C8m7I@;(B $(CA&>n<h3*(B meta$(C<h?!(B $(CGR4gGR(B -$(C<v(B $(C>x=@4O4Y(B. $(C@L8F=:4B(B $(C@L71(B $(C9.A&8&(B X (eXtend) $(C8m7I@87N(B $(CGX0aGU4O4Y(B. -$(C@L?!4B(B $(C5N0!Av(B $(CA>7y0!(B $(C@V=@4O4Y(B: +이맥스의 명령어는 너무 많아서 이 모든 명령을 제어쇠나 meta쇠에 할당할 +수 없습니다. 이맥스는 이런 문제를 X (eXtend) 명령으로 해결합니다. +이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: - C-x $(C9.@Z(B $(CH.@e(B. $(C9.@Z(B $(CGO3*0!(B $(C5Z5{8'(B. - M-x $(C@L8'(B $(C8m7I@G(B $(CH.@e(B. $(C1d(B $(C@L8'@L(B $(C5Z5{8'(B. + C-x 문자 확장. 문자 하나가 뒤따름. + M-x 이름 명령의 확장. 긴 이름이 뒤따름. -$(C@L(B $(C8m7I5i@:(B $(C4k03(B $(C@/?kGOAv88(B, $(CAv1]1nAv(B $(C9h?v(B $(C?B(B $(C8m7I5i:84Y4B(B $(C4z(B $(C:s9xGO0T(B -$(C;g?k5K4O4Y(B. $(C@L71(B $(CA>7y@G(B $(C8m7I@;(B $(C@L9L(B $(C5N(B $(C03(B $(C>K0m(B $(C@V=@4O4Y(B: $(CFD@O(B -$(C8m7I(B $(CA_?!(B C-x C-f$(C7N(B $(CC#1b?M(B C-x C-s$(C7N(B $(C0%9+8.GO1b(B. $(C4Y8%(B $(C?94B(B $(C@L8F=:(B $(C@[>w(B -$(C=C0#@;(B $(C86D!4B(B $(C8m7I@T4O4Y(B--$(C@L4B(B C-x C-c $(C8m7I(B. ($(C:/0f(B $(C;gGW@;(B -$(C@R>n9v8.Av3*(B $(C>J@;1n(B $(CGO4B(B $(C0FA$@:(B $(C>J(B $(CGX55(B $(C5K4O4Y(B; C-x C-c$(C4B(B $(C@L8F=:8&(B -$(CAW@L1b(B $(C@|?!(B $(C0"0"@G(B $(C:/0f5H(B $(CFD@O@;(B $(C0%9+8.GR(B $(C1bH88&(B $(CA]4O4Y(B.) +이 명령들은 대개 유용하지만, 지금까지 배워 온 명령들보다는 덜 빈번하게 +사용됩니다. 이런 종류의 명령을 이미 두 개 알고 있습니다: 파일 +명령 중에 C-x C-f로 찾기와 C-x C-s로 갈무리하기. 다른 예는 이맥스 작업 +시간을 마치는 명령입니다--이는 C-x C-c 명령. (변경 사항을 +잃어버리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은 않 해도 됩니다; C-x C-c는 이맥스를 +죽이기 전에 각각의 변경된 파일을 갈무리할 기회를 줍니다.) -C-z$(C4B(B $(C@L8F=:8&(B *$(C@S=C7N(B* $(C3*?@1b(B $(C@'GQ(B $(C8m7I@T4O4Y(B--$(C1W7!<-(B $(C4Y@=?!(B, $(CGO4x(B -$(CA_@G(B $(C@L8F=:(B $(C@[>w(B $(C=C0#@87N(B $(C4Y=C(B $(C5G59>F(B $(C0%(B $(C<v(B $(C@V=@4O4Y(B. +C-z는 이맥스를 *임시로* 나오기 위한 명령입니다--그래서 다음에, 하던 +중의 이맥스 작업 시간으로 다시 되돌아 갈 수 있습니다. -$(C?n?5(B $(CC<0h0!(B $(CGc?kGO8i(B C-z$(C4B(B $(C@L8F=:8&(B "$(CA_Av(B"$(C=CE54O4Y(B(suspend); $(CAo(B, $(C@L(B -$(C8m7I@:(B $(CA60!:q(B(shell)$(C7N(B $(C59>F(B $(C0!557O(B $(CGOAv88(B $(C@L8F=:8&(B $(CFD1+GO4B(B $(C0M@:(B -$(C>F4U4O4Y(B. $(C4k:N:P@G(B $(CA60!:q?!<-4B(B `fg'$(C3*(B `%emacs'$(C8m7I@87N(B $(C@L8F=:8&(B $(C0h<SGR(B -$(C<v(B $(C@V=@4O4Y(B. +운영 체계가 허용하면 C-z는 이맥스를 "중지"시킵니다(suspend); 즉, 이 +명령은 조가비(shell)로 돌아 가도록 하지만 이맥스를 파괴하는 것은 +아닙니다. 대부분의 조가비에서는 `fg'나 `%emacs'명령으로 이맥스를 계속할 +수 있습니다. -$(CA_AvGO4B(B $(C0M@;(B $(CA&0xGOAv(B $(C>J4B(B $(C?n?5(B $(CC<0h?!<-4B(B C-z$(C?!(B $(C@GGX(B, $(C@L8F=:(B $(C9X?!<-(B -$(C=GG`5G4B(B $(C>F7'A60!:q0!(B $(C885i>n(B $(CAv0T(B $(C5G4B5%(B $(C?)1b<-(B $(C4Y8%(B $(CGA7N1W7%5i@;(B -$(C=GG`GQ(B $(CHD(B $(C@L8F=:7N(B $(C59>F(B $(C?C(B $(C<v(B $(C@V4B(B $(C1bH80!(B $(C@V=@4O4Y(B; $(C;g=G;s(B $(C@L8F=:7N:NEM(B -"$(C3*0!4B(B" $(C0M@:(B $(C>F4U4O4Y(B. $(C@L(B $(C0f?l(B $(C:8Ek(B, $(CA60!:q(B $(C8m7I@N(B `exit'$(C@87N(B -$(C>F7'A60!:q?!<-(B $(C@L8F=:?!(B $(C5G59>F(B $(C?I4O4Y(B. +중지하는 것을 제공하지 않는 운영 체계에서는 C-z에 의해, 이맥스 밑에서 +실행되는 아랫조가비가 만들어 지게 되는데 여기서 다른 프로그램들을 +실행한 후 이맥스로 돌아 올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; 사실상 이맥스로부터 +"나가는" 것은 아닙니다. 이 경우 보통, 조가비 명령인 `exit'으로 +아랫조가비에서 이맥스에 되돌아 옵니다. -C-x C-c$(C4B(B $(C@|;j1b?!<-(B $(C9~>n3*1b(B $(CGR(B $(C6'3*(B $(C;g?kGU4O4Y(B. $(CFmAv8&(B $(CCk1^GO4B(B -$(CGA7N1W7%@L3*(B $(C4Y8%(B $(C@b4YGQ(B $(C55?r8p(B(utilities)$(C5i@L(B $(C>_1bGQ(B $(C@L8F=:4B(B -$(CA_Av=CE24Y4B(B $(C0M@;(B $(C8p8#1b(B $(C6'9.?!(B $(C3*0!1b8&(B $(CGX>_(B $(CGU4O4Y(B. $(CGOAv88(B, $(C:8Ek@G(B -$(C0f?l(B, $(C9~>n3*1b8&(B $(CGOAv(B $(C>J4B(B $(CGQ(B, $(C@L8F=:8&(B $(C3*0!1b:84Y4B(B $(CA_AvGO4B(B $(C0M@L(B -$(CAA=@4O4Y(B. +C-x C-c는 전산기에서 벗어나기 할 때나 사용합니다. 편지를 취급하는 +프로그램이나 다른 잡다한 도움모(utilities)들이 야기한 이맥스는 +중지시킨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나가기를 해야 합니다. 하지만, 보통의 +경우, 벗어나기를 하지 않는 한, 이맥스를 나가기보다는 중지하는 것이 +좋습니다. -C-x $(C8m7I>n4B(B $(C89@L(B $(C@V=@4O4Y(B. $(C@L9L(B $(C9h?n(B $(C0M@;(B $(C>F7!?!(B $(CAW:8@T4O4Y(B. +C-x 명령어는 많이 있습니다. 이미 배운 것을 아래에 죽보입니다. - C-x C-f $(CFD@O(B $(CC#1b(B. - C-x C-s $(CFD@O(B $(C0%9+8.(B. - C-x C-b $(C;g@LD-(B $(C8q7O(B. - C-x C-c $(C@L8F=:(B $(C3!3;1b(B. - C-x u $(C9+8#1b(B. + C-x C-f 파일 찾기. + C-x C-s 파일 갈무리. + C-x C-b 사이칸 목록. + C-x C-c 이맥스 끝내기. + C-x u 무르기. -$(C@L8'(B $(CH.@e(B $(C8m7I@:(B $(C@ZAV(B $(C;g?k5GAv(B $(C>J0E3*(B $(CF/:0GQ(B $(C9f=D?!<-3*(B $(C>2@L4B(B -$(C8m7I@T4O4Y(B. $(CGQ0!Av(B $(C?94B(B replace-string $(C8m7I@N5%(B $(C@L4B(B $(C@|?*@{@87N(B $(CGQ(B -$(C9.@Z?-@;(B $(C4Y8%(B $(C9.@Z?-7N(B $(C;u7N9Y2_4O4Y(B. M-x$(C8&(B $(CD!8i(B $(C@L8F=:4B(B $(CH-8i@G(B -$(C9Y4Z?!<-(B M-x$(C6s0m(B $(C1f@b@LGO?)(B $(C8m7I@G(B $(C@L8'@;(B $(CD!557O(B $(CGU4O4Y(B; $(C@L(B $(C0f?l4B(B -"replace-string". "repl s<TAB>"$(C88(B $(CCD55(B $(C@L8F=:4B(B $(C@L8'@;(B $(C?O<:=CE3(B -$(C0M@T4O4Y(B. $(C8m7I(B $(C@L8'@:(B <Return>$(C@87N(B $(C3!334O4Y(B. +이름 확장 명령은 자주 사용되지 않거나 특별한 방식에서나 쓰이는 +명령입니다. 한가지 예는 replace-string 명령인데 이는 전역적으로 한 +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새로바꿉니다. M-x를 치면 이맥스는 화면의 +바닥에서 M-x라고 길잡이하여 명령의 이름을 치도록 합니다; 이 경우는 +"replace-string". "repl s<TAB>"만 쳐도 이맥스는 이름을 완성시킬 +것입니다. 명령 이름은 <Return>으로 끝납니다. -replace-string $(C8m7I@:(B $(C5N03@G(B $(C@N<v8&(B $(C?d18GU4O4Y(B--$(C9Y2n>nA.>_(B $(CGR(B $(C9.@Z?-0z(B -$(C;u7N9Y2n>nAz(B $(C9.@Z?-(B. $(C0"0"@G(B $(C@N<v4B(B <Return>$(C@87N(B $(C3!3;>_(B $(CGU4O4Y(B. +replace-string 명령은 두개의 인수를 요구합니다--바뀌어져야 할 문자열과 +새로바뀌어질 문자열. 각각의 인수는 <Return>으로 끝내야 합니다. ->> $(C1t9Z@L8&(B $(C@L(B $(CAY?!<-(B $(C5N(B $(CAY(B $(C>F7!@G(B $(C:s(B $(CAY7N(B $(C?rAw@L=J=C?@(B. - $(C1W(B $(CHD(B M-x repl s<Return>$(C:/H-5G(B<Return>$(C9Y2n(B<Return>$(C@;(B $(CD!=J=C?@(B. +>> 깜박이를 이 줄에서 두 줄 아래의 빈 줄로 움직이십시오. + 그 후 M-x repl s<Return>변화되<Return>바뀌<Return>을 치십시오. - $(C@L(B $(CAY@L(B $(C>n6;0T(B $(C:/H-5G>z4B0!8&(B $(C@/@GGO=J=C?@(B: $(C1t9Z@L0!(B $(C@V4B(B $(CCJ1b(B $(C@'D!(B - $(C4Y@=?!(B $(C:/(B-$(CH-(B-$(C5G(B $(C6s4B(B $(C398;@L(B $(C3*?C(B $(C6'864Y(B "$(C9Y2n(B"$(C6s0m(B - $(C;u7N9Y2n>z=@4O4Y(B. + 이 줄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유의하십시오: 깜박이가 있는 초기 위치 + 다음에 변-화-되 라는 낱말이 나올 때마다 "바뀌"라고 + 새로바뀌었습니다. -* $(C@Z5?(B $(C0%9+8.(B +* 자동 갈무리 ------------- -$(CFD@O@;(B $(C:/0fGQ(B $(CHD?!(B $(C>FAw(B $(C0%9+8.8&(B $(CGOAv(B $(C>J>R@88i(B $(C@|;j1b0!(B $(C?M8#8#(B -$(C9+3JA|@87N=a(B $(C:/0f(B $(C;gGW@;(B $(C@R>n(B $(C9v81(B $(C<v(B $(C@V=@4O4Y(B. $(C@L71(B $(C@g>S@;(B $(C9fAvGO1b(B -$(C@'GX(B, $(C@L8F=:4B(B $(CFmA}GO0m(B $(C@V4B(B $(C0"0"@G(B $(CFD@O@;(B $(CAV1b@{@87N(B "$(C@Z5?(B $(C0%9+8.(B" -$(CFD@O?!(B $(C>94O4Y(B. $(C@Z5?(B $(C0%9+8.5H(B $(CFD@O@G(B $(C@L8'@:(B $(C>U5Z7N(B # $(C9.@Z0!(B $(C@V=@4O4Y(B; -$(C?98&(B $(C5i>n(B, "hello.c"$(C6s4B(B $(C@L8'@G(B $(CFD@O@:(B "#hello.c#"$(C6s4B(B $(C@L8'@G(B $(C@Z5?(B -$(C0%9+8.(B $(CFD@O@;(B $(C0.0T(B $(C5K4O4Y(B. $(CA$;s@{@87N(B $(CFD@O@;(B $(C0%9+8.GO8i(B $(C@L8F=:4B(B $(C@Z5?(B -$(C0%9+8.(B $(CFD@O@;(B $(CAv?s4O4Y(B. +파일을 변경한 후에 아직 갈무리를 하지 않았으면 전산기가 와르르 +무너짐으로써 변경 사항을 잃어 버릴 수 있습니다. 이런 재앙을 방지하기 +위해, 이맥스는 편집하고 있는 각각의 파일을 주기적으로 "자동 갈무리" +파일에 씁니다. 자동 갈무리된 파일의 이름은 앞뒤로 # 문자가 있습니다; +예를 들어, "hello.c"라는 이름의 파일은 "#hello.c#"라는 이름의 자동 +갈무리 파일을 갖게 됩니다. 정상적으로 파일을 갈무리하면 이맥스는 자동 +갈무리 파일을 지웁니다. -$(C@|;j1b0!(B $(C?M8#8#(B $(C9+3JAv8i(B $(C1W(B $(CFD@O@;(B ($(C@Z5?(B $(C0%9+8.5H(B $(CFD@O@L(B $(C>F4O6s(B -$(CFmA}GO4x(B $(CFD@O(B) $(CFr;s=CC373(B $(CC#@:(B $(CHD(B M-x recover-file<Return>$(C@;(B $(CD'@87N=a(B -$(C@Z5?(B $(C0%9+8.5H(B $(CFmA}90@;(B $(CH8:9=CE3(B $(C<v(B $(C@V=@4O4Y(B. $(CH.@NGR(B $(C0M@;(B $(C?d18GO8i(B -yes<Return>$(C@;(B $(CCD<-(B $(C0h<S(B $(CAxG`GO?)(B $(C@Z5?(B $(C0%9+8.5H(B $(C@Z7a8&(B $(CH8:9=CE0=J=C?@(B. +전산기가 와르르 무너지면 그 파일을 (자동 갈무리된 파일이 아니라 +편집하던 파일) 평상시처럼 찾은 후 M-x recover-file<Return>을 침으로써 +자동 갈무리된 편집물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. 확인할 것을 요구하면 +yes<Return>을 쳐서 계속 진행하여 자동 갈무리된 자료를 회복시키십시오. -* $(C8^>F8.(B $(CEM(B +* 메아리 터 ----------- -$(C@L8F=:0!(B, $(C8m7I@;(B $(CD!4B(B $(C<S550!(B $(C4@8.4Y0m(B $(C@N=DGO8i(B $(CH-8i(B $(C9Y4Z@G(B "$(C8^>F8.(B -$(CEM(B"$(C6s0m(B $(C:R8.4B(B $(C:s(B $(CEM?!(B $(CD#(B $(C8m7I@;(B $(C:8?)A]4O4Y(B. $(C8^>F8.(B $(CEM4B(B $(CH-8i@G(B $(C9Y4Z(B -$(CAY@T4O4Y(B. +이맥스가, 명령을 치는 속도가 느리다고 인식하면 화면 바닥의 "메아리 +터"라고 불리는 빈 터에 친 명령을 보여줍니다. 메아리 터는 화면의 바닥 +줄입니다. -* $(C9f=D(B $(CAY(B +* 방식 줄 --------- -$(C8^>F8.(B $(CEM@G(B $(C9Y7N(B $(C@-(B $(CAY@:(B "$(C9f=D(B $(CAY(B"$(C@L6s0m(B $(C:N8(4O4Y(B. $(C9f=D(B $(CAY@:(B $(C4Y@=0z(B -$(C00@:(B $(C=D@87N(B $(CG%=C5G>n(B $(C@V=@4O4Y(B. +메아리 터의 바로 윗 줄은 "방식 줄"이라고 부릅니다. 방식 줄은 다음과 +같은 식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. --:** TUTORIAL.ko (Fundamental)--L670--58%---------------- -$(C@L(B $(CAY?!4B(B $(C@L8F=:3*(B $(CFmA}GO0m(B $(C@V4B(B $(C1[?y@G(B $(C;sH2?!(B $(C4kGQ(B $(C@/?kGQ(B $(CA$:80!(B -$(C0#Aw5G>n(B $(C@V=@4O4Y(B. - -$(CFD@O(B $(C@L8'@L(B $(C9+>y@;(B $(C@G9LGO4BAv4B(B $(C@L9L(B $(C>K0m(B $(C@V=@4O4Y(B--$(C1W(B $(C0M@:(B $(CC#>R4x(B -$(CFD@O@T4O4Y(B. -NN%--$(C4B(B $(C1[?y?!<-@G(B $(CGv@g(B $(C@'D!8&(B $(C0!8.E54O4Y(B; $(C@L4B(B $(CH-8i(B -$(C2@4k1b(B $(C@'7N(B NN $(CF[<>F.@G(B $(C1[?y@L(B $(C@V@=@;(B $(C@G9LGU4O4Y(B. $(CFD@O@G(B $(C2@4k1b0!(B -$(CH-8i?!(B $(C@V@88i(B --00%-- $(C4k=E?!(B --Top--$(C@L6s0m(B $(CG%=C5K4O4Y(B. $(C1[?y@G(B -$(C9X9Y4Z@L(B $(CH-8i?!(B $(C@V@88i(B --Bot--$(C@L6s0m(B $(CG%=C5K4O4Y(B. $(C1[?y@L(B $(C>FAV(B $(C@[>F<-(B -$(C8p5g(B $(C3;?k@L(B $(CH-8i?!(B $(C4Y(B $(C3*E83*8i(B $(C9f=D(B $(CAY?!4B(B --All--$(C@L6s0m(B $(CG%=C5K4O4Y(B. - -$(C0E@G(B $(C>U:N:P?!(B $(C@V4B(B $(C:0(B $(C9.@Z5i@:(B $(C1[?y@L(B $(C:/0f5G>z@=@;(B $(C@G9LGU4O4Y(B. $(CFD@O(B -$(C9f9.(B $(CAwHD3*(B $(C0%9+8.(B $(CAwHD?!4B(B $(C1W(B $(C0w?!(B $(C:0(B $(C9.@Z0!(B $(C>x0m(B $(C4k=C(B $(C9.@Z88(B -$(C@V=@4O4Y(B. - -$(C9f=D(B $(CAY@G(B $(C0}H#(B $(C9.@Z>H@:(B $(C>n62(B $(CFmA}(B $(C9f=D@;(B $(C;g?kGO0m(B $(C@V4B0!8&(B -$(C>K7AA]4O4Y(B. $(C>VCJ(B $(C9f=D@:(B Fundamental$(C7N<-(B $(CAv1](B $(C;g?k5G0m(B $(C@V4B(B -$(C9f=D@T4O4Y(B. $(C@L4B(B "$(CAV(B $(C9f=D(B"$(C@G(B $(CGQ(B $(C?9@T4O4Y(B. - -$(C@L8F=:?!4B(B $(CAV(B $(C9f=D@L(B $(C89@L(B $(C@V=@4O4Y(B. $(C1W(B $(CA_(B $(C8n0!Av4B(B $(C4Y8%(B $(C>p>n(B $(C6G(B/$(C6G4B(B -$(C4Y8%(B $(CA>7y@G(B $(C1[?y@;(B $(CFmA}GO557O(B $(CGO4B5%(B $(C>2@L8g(B, Lisp $(C9f=D(B, Text $(C9f=D(B -$(C5n5n@L(B $(C@V=@4O4Y(B. $(CGW;s(B $(CGQ(B $(C0!Av(B $(CAV(B $(C9f=D88@L(B $(C@{?k5G8g(B $(CAv1](B -"Fundamental"$(C@L6s0m(B $(C@{Gt(B $(C@V4B(B $(C0w?!(B $(CG%=C5K4O4Y(B. - -$(C0"0"@G(B $(CAV(B $(C9f=D@:(B $(C8n8n(B $(C8m7I5i@L(B $(C@[5?@;(B $(C4^8.GO557O(B $(C5G>n(B $(C@V=@4O4Y(B. $(C?98&(B -$(C5i>n(B, $(CGA7N1W7%?!4B(B $(C<38m9.@;(B $(C885e4B(B $(C8m7I@L(B $(C@V4B5%(B, $(CGA7N1W7%(B $(C>p>n5i@:(B -$(C<38m9.@G(B $(CG|EB@;(B $(C0"0"(B $(C4^8.(B $(CGO1b(B $(C6'9.?!(B $(C0"0"@G(B $(CAV(B $(C9f=D@:(B $(C<38m9.@;(B $(C<-7N(B -$(C4Y8#0T(B $(C3"?v(B $(C3V557O(B $(C5G>n(B $(C@V=@4O4Y(B. $(C8p5g(B $(CAV(B $(C9f=D@:(B $(CH.@e(B $(C8m7I@G(B $(C@L8'@;(B -$(C;g?kGO9G7N<-(B $(C1W(B $(C9f=D@87N(B $(C>y9Y2Y4B(B $(C0M@L(B $(C=10T(B $(C@N=D5I(B $(C<v(B $(C@V=@4O4Y(B. $(CGQ(B -$(C?97N(B M-x fundamental-mode$(C4B(B Fundamental $(C9f=D@87N(B $(C>y9Y2Y4B(B $(C8m7I@T4O4Y(B. - -$(C@L(B $(CFD@O0z(B $(C00@:(B $(CGQ1[(B $(C1[?y@;(B $(CFmA}GO7A0m(B $(CGQ4Y8i(B Text $(C9f=D@;(B $(C>24B(B $(C0M@L(B -$(CAA@;(B $(C0M@T4O4Y(B. ->> M-x text mode<Return>$(C@;(B $(CCD(B $(C:8=J=C?@(B. - -$(CAv1]1nAv(B $(C9h?n(B $(C@L8F=:(B $(C8m7I5i@:(B $(C89@L(B $(C4^6sAvAv(B $(C>J@84O(B $(C0FA$GOAv(B $(C>J>F55(B -$(C5K4O4Y(B. $(C1W7/3*(B M-f$(C?M(B M-b$(C0!(B $(C>U@[@:5{?HG%8&(B $(C398;@G(B $(C@O:N7N(B $(CC38.GT@;(B -$(C0|B{GR(B $(C<v(B $(C@V@;(B $(C0M@T4O4Y(B. $(C@|?!(B Fundamental $(C9f=D?!<-4B(B M-f$(C?M(B M-b$(C0!(B -$(C>U@[@:5{?HG%8&(B $(C398;(B $(C:P8.(B $(C9.@Z7N(B $(CCk1^GO?4=@4O4Y(B. - -$(CAV(B $(C9f=D@:(B $(C:8Ek(B $(C4Y@=0z(B $(C00@:(B $(C9L9&GQ(B $(C:/H-8&(B $(CCJ7!GU4O4Y(B: $(C4k:N:P@G(B $(C8m7I5i@:(B -$(C0"0"@G(B $(CAV(B $(C9f=D?!<-(B "$(C00@:(B $(C@O(B"$(C@;(B $(CGOAv88(B $(C>`0#(B $(C4Y8#0T(B $(C@[5?GQ4Y(B. - -$(CGv@g@G(B $(CAV(B $(C9f=D?!(B $(C4kGQ(B $(C9.<-H-8&(B $(C:80m@Z(B $(CGO8i(B C-h m$(C@;(B $(CD!=J=C?@(B. - ->> C-u C-v$(C8&(B $(C8n(B $(C9x(B $(CCD<-(B $(C@L(B $(CAY@;(B $(CH-8i@G(B $(C2@4k1bBk@87N(B $(C?rAw@L=J=C?@(B. ->> C-h m$(C@;(B $(CCD<-(B Text $(C9f=D0z(B Fundamental $(C9f=D@G(B $(CBw@LA!@;(B $(C:8=J=C?@(B. ->> C-x 1$(C@;(B $(CCD<-(B $(C9.<-H-8&(B $(CH-8i?!<-(B $(C>x>V=J=C?@(B. - -$(CAV(B $(C9f=D@:(B $(C:N(B $(C9f=D@L(B $(C@V1b(B $(C6'9.?!(B $(CAV(B $(C9f=D@L6s0m(B $(C:N8(4O4Y(B. $(C:N(B $(C9f=D@:(B $(CAV(B -$(C9f=D@;(B $(C13C<GR(B $(C<v(B $(C@V4B(B $(C0M@L(B $(C>F4O6s(B $(CAV(B $(C9f=D@;(B $(C:NBw@{@87N(B $(C<vA$GQ(B -$(C9f=D@T4O4Y(B. $(C0"0"@G(B $(C:N(B $(C9f=D@:(B $(C4Y8%(B $(C:N(B $(C9f=D0z(B $(C5683@{@87N(B, $(C1W8.0m(B $(CAV(B -$(C9f=D0z55(B $(C5683@{@87N(B, $(C1W(B $(C@ZC<7N<-(B $(C2t0m(B $(CDS(B $(C<v(B $(C@V=@4O4Y(B. $(C1W7/9G7N(B $(C:N(B -$(C9f=D@:(B $(C>2Av(B $(C>J@;(B $(C<v55(B $(C@V0m(B $(CGO3*88(B $(C>5(B $(C<v55(B $(C@V@88i(B $(C?)7/(B $(C:N(B $(C9f=D@;(B -$(CB%8BCg<-(B $(C>5(B $(C<v55(B $(C@V=@4O4Y(B. - -$(C>FAV(B $(C@/?kGQ(B $(C:N(B $(C9f=DA_(B, $(CGQ1[(B $(C1[?y@;(B $(CFmA}GR(B $(C6'(B $(C@ZAV(B $(C;g?k5G4B(B Auto Fill -$(C9f=D@L(B $(C@V=@4O4Y(B. $(C@L(B $(C9f=D@L(B $(CDQA.(B $(C@V@;(B $(C6'(B $(C@L8F=:4B(B, $(CAY@L(B $(C3J9+(B $(C3P>nAv8i(B -$(C1[?y@L(B $(C3"?vA|?!(B $(C5{6s(B $(C398;;g@L?!<-(B $(C@Z5?@87N(B $(CAY9Y2^@;(B $(CGU4O4Y(B. - -Auto Fill $(C9f=D@;(B $(CDQ1b(B $(C@'GX<-4B(B M-x auto-fill-mode<Return>$(C@;(B $(CD(4O4Y(B. -$(C@L(B $(C9f=D@L(B $(CDQA.(B $(C@V@88i(B M-x auto-fill-mode<Return>$(C@;(B $(CCD<-(B $(C2x(B $(C<v(B -$(C@V=@4O4Y(B. $(C@L(B $(C9f=D@L(B $(C2(A.(B $(C@V@88i(B $(C@L(B $(C8m7I@:(B $(C1W(B $(C9f=D@;(B $(CDQ0m(B, $(C9]4k7N(B $(CDQA.(B -$(C@V@;(B $(C6'4B(B $(C@L(B $(C9f=D@;(B $(C2|4O4Y(B. $(C?l8.4B(B $(C@L(B $(C8m7I@L(B "$(C9f=D@;(B $(C6H5|(B"$(CGQ4Y0m(B -(toggle) $(CGU4O4Y(B. - ->> M-x auto fill mode<Return>$(C@;(B $(CAv1](B $(CCD(B $(C:8=J=C?@(B. $(C1W8.0m(B "asdf "$(C6s4B(B - $(CAY@;(B $(C0h<S(B $(C3"?v(B $(C3V>n<-(B $(C1W(B $(CAY@L(B $(C5Q7N(B $(C3*45557O(B $(CGO=J=C?@(B. Auto Fill - $(C9f=D@:(B $(C0x0#(B $(C9.@Z?!<-88(B $(CAY9Y2^@;(B $(CGO1b(B $(C6'9.?!(B $(C2@(B $(C0x0#(B $(C9.@Z0!(B $(C5i>n(B - $(C@V>n>_(B $(CGU4O4Y(B. - -$(CGQ0h4B(B $(C:8Ek(B 70$(C03@G(B $(C9.@Z7N(B $(CA$GXA.(B $(C@VAv88(B C-x f $(C8m7I@87N(B $(C1W(B $(C0M@;(B $(C:/0fGR(B -$(C<v(B $(C@V=@4O4Y(B. $(C?xGO4B(B $(CGQ0h(B $(C<3A$@:(B $(C<}@Z(B $(C@N<v7N(B $(CGO?)>_(B $(CGU4O4Y(B. - ->> 20$(C@L6s4B(B $(C@N<v7N(B C-x f$(C8&(B $(CCD(B $(C:8=J=C?@(B. (C-u 2 0 C-x f). - $(C1W8.0m(B $(C1[?y@;(B $(C9:0!(B $(CCD<-(B $(C@L8F=:0!(B 20$(C03@G(B $(C9.@Z7N(B $(CGQ(B $(CAY@;(B $(CC$?l4BAv8&(B - $(C:8=J=C?@(B. $(C1W71(B $(C4Y@=?!(B C-x f$(C8&(B $(C4Y=C(B $(C=a<-(B $(CGQ0h8&(B 70$(C@87N(B $(C@g(B - $(C<3A$GO=J=C?@(B. - -$(C4\6t@G(B $(CA_0#?!<-(B $(C:/0fGO8i(B Auto Fill $(C9f=D@:(B $(CC$?r@;(B $(C4Y=C(B $(CGOAv(B -$(C>J=@4O4Y(B. $(C1W(B $(C4\6t@;(B $(C4Y=C(B $(CC$?l1b(B $(C@'GX<-4B(B $(C1t9Z@L0!(B $(C4\6t(B $(C>H?!(B $(C@V4B(B -$(C;sEB?!<-(B M-q (Meta$(C<h(B-q)$(C8&(B $(CD(4O4Y(B. - ->> $(C1t9Z@L8&(B $(C@L@|(B $(C4\6t@87N(B $(C?rAw@N(B $(CHD(B M-q$(C8&(B $(CD!=J=C?@(B. - -* $(CC#1b(B +이 줄에는 이맥스나 편집하고 있는 글월의 상황에 대한 유용한 정보가 +간직되어 있습니다. + +파일 이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--그 것은 찾았던 +파일입니다. -NN%--는 글월에서의 현재 위치를 가리킵니다; 이는 화면 +꼭대기 위로 NN 퍼센트의 글월이 있음을 의미합니다. 파일의 꼭대기가 +화면에 있으면 --00%-- 대신에 --Top--이라고 표시됩니다. 글월의 +밑바닥이 화면에 있으면 --Bot--이라고 표시됩니다. 글월이 아주 작아서 +모든 내용이 화면에 다 나타나면 방식 줄에는 --All--이라고 표시됩니다. + +거의 앞부분에 있는 별 문자들은 글월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합니다. 파일 +방문 직후나 갈무리 직후에는 그 곳에 별 문자가 없고 대시 문자만 +있습니다. + +방식 줄의 괄호 문자안은 어떤 편집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가를 +알려줍니다. 애초 방식은 Fundamental로서 지금 사용되고 있는 +방식입니다. 이는 "주 방식"의 한 예입니다. + +이맥스에는 주 방식이 많이 있습니다. 그 중 몇가지는 다른 언어 또/또는 +다른 종류의 글월을 편집하도록 하는데 쓰이며, Lisp 방식, Text 방식 +등등이 있습니다. 항상 한 가지 주 방식만이 적용되며 지금 +"Fundamental"이라고 적혀 있는 곳에 표시됩니다. + +각각의 주 방식은 몇몇 명령들이 작동을 달리하도록 되어 있습니다. 예를 +들어, 프로그램에는 설명문을 만드는 명령이 있는데, 프로그램 언어들은 +설명문의 형태을 각각 달리 하기 때문에 각각의 주 방식은 설명문을 서로 +다르게 끼워 넣도록 되어 있습니다. 모든 주 방식은 확장 명령의 이름을 +사용하므로서 그 방식으로 엇바꾸는 것이 쉽게 인식될 수 있습니다. 한 +예로 M-x fundamental-mode는 Fundamental 방식으로 엇바꾸는 명령입니다. + +이 파일과 같은 한글 글월을 편집하려고 한다면 Text 방식을 쓰는 것이 +좋을 것입니다. +>> M-x text mode<Return>을 쳐 보십시오. + +지금까지 배운 이맥스 명령들은 많이 달라지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+됩니다. 그러나 M-f와 M-b가 앞작은따옴표를 낱말의 일부로 처리함을 +관찰할 수 있을 것입니다. 전에 Fundamental 방식에서는 M-f와 M-b가 +앞작은따옴표를 낱말 분리 문자로 취급하였습니다. + +주 방식은 보통 다음과 같은 미묘한 변화를 초래합니다: 대부분의 명령들은 +각각의 주 방식에서 "같은 일"을 하지만 약간 다르게 작동한다. + +현재의 주 방식에 대한 문서화를 보고자 하면 C-h m을 치십시오. + +>> C-u C-v를 몇 번 쳐서 이 줄을 화면의 꼭대기쯤으로 움직이십시오. +>> C-h m을 쳐서 Text 방식과 Fundamental 방식의 차이점을 보십시오. +>> C-x 1을 쳐서 문서화를 화면에서 없애십시오. + +주 방식은 부 방식이 있기 때문에 주 방식이라고 부릅니다. 부 방식은 주 +방식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 방식을 부차적으로 수정한 +방식입니다. 각각의 부 방식은 다른 부 방식과 독립적으로, 그리고 주 +방식과도 독립적으로, 그 자체로서 끄고 켤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부 +방식은 쓰지 않을 수도 있고 하나만 쓸 수도 있으면 여러 부 방식을 +짜맞춰서 쓸 수도 있습니다. + +아주 유용한 부 방식중, 한글 글월을 편집할 때 자주 사용되는 Auto Fill +방식이 있습니다. 이 방식이 켜져 있을 때 이맥스는, 줄이 너무 넓어지면 +글월이 끼워짐에 따라 낱말사이에서 자동으로 줄바꿈을 합니다. + +Auto Fill 방식을 켜기 위해서는 M-x auto-fill-mode<Return>을 칩니다. +이 방식이 켜져 있으면 M-x auto-fill-mode<Return>을 쳐서 끌 수 +있습니다. 이 방식이 꺼져 있으면 이 명령은 그 방식을 켜고, 반대로 켜져 +있을 때는 이 방식을 끕니다. 우리는 이 명령이 "방식을 똑딱"한다고 +(toggle) 합니다. + +>> M-x auto fill mode<Return>을 지금 쳐 보십시오. 그리고 "asdf "라는 + 줄을 계속 끼워 넣어서 그 줄이 둘로 나뉘도록 하십시오. Auto Fill + 방식은 공간 문자에서만 줄바꿈을 하기 때문에 꼭 공간 문자가 들어 + 있어야 합니다. + +한계는 보통 70개의 문자로 정해져 있지만 C-x f 명령으로 그 것을 변경할 +수 있습니다. 원하는 한계 설정은 숫자 인수로 하여야 합니다. + +>> 20이라는 인수로 C-x f를 쳐 보십시오. (C-u 2 0 C-x f). + 그리고 글월을 뭔가 쳐서 이맥스가 20개의 문자로 한 줄을 채우는지를 + 보십시오. 그런 다음에 C-x f를 다시 써서 한계를 70으로 재 + 설정하십시오. + +단락의 중간에서 변경하면 Auto Fill 방식은 채움을 다시 하지 +않습니다. 그 단락을 다시 채우기 위해서는 깜박이가 단락 안에 있는 +상태에서 M-q (Meta쇠-q)를 칩니다. + +>> 깜박이를 이전 단락으로 움직인 후 M-q를 치십시오. + +* 찾기 ------ -$(C@L8F=:4B(B $(C1[?y@G(B $(C>UBJ@L3*(B $(C5^BJ@87N(B $(C9.@Z?-@;(B ($(C9.@Z?-@:(B $(C?,<S5H(B $(C9.@Z3*(B -$(C?,<S5H(B $(C398;@T4O4Y(B) $(CC#@;(B $(C<v(B $(C@V=@4O4Y(B. $(C9.@Z?-@;(B $(CC#4B(B $(C0M@:(B $(C1t9Z@L8&(B -$(C?rAw@L4B(B $(C8m7I@T4O4Y(B; $(C1t9Z@L0!(B $(C1W(B $(C9.@Z?-@L(B $(C3*E83*4B(B $(C0w@87N(B $(C?rAw@T4O4Y(B. - -$(C@L8F=:@G(B $(CC#1b(B $(C8m7I@:(B "$(CAu0!@{(B"$(C@L6s4B(B $(CA!?!<-(B $(C@O9](B $(CFmA}1b@G(B $(CC#1b(B $(C8m7I0z(B -$(C4Y8(4O4Y(B. $(C@L4B(B $(CC#0m@Z(B $(CGO4B(B $(C9.@Z?-@;(B $(CE8@ZGO0m(B $(C@V4B(B $(C5?>H?!(B $(CC#1b0!(B -$(C@L7g>nAv0m(B $(C@V4Y4B(B $(C0M@;(B $(C@G9LGU4O4Y(B. - -$(CC#1b8&(B $(C=C@[=CE04B(B $(C8m7I@:(B $(C>UBJ@87N(B $(CC#1b0!(B C-s$(C@L0m(B $(C5^BJ@87N(B $(CC#1b0!(B -C-r$(C@T4O4Y(B. $(C1W7/3*(B $(C@a1q(B $(C1b4Y8.=J=C?@(B! $(CAv1](B $(C@L0M@;(B $(C=C55GX(B $(C:8Av(B -$(C86=J=C?@(B. - -C-s$(C8&(B $(CD!8i(B $(C8^>F8.(B $(CEM?!(B, $(C1f@b@L7N(B "I-search"$(C6s4B(B $(C9.@Z?-@L(B $(C3*E83*4B(B $(C0M@;(B -$(C:<(B $(C<v(B $(C@V=@4O4Y(B. $(C@L4B(B $(CC#0m@Z(B $(CGO4B(B $(C9.@Z?-@L(B $(CE8@Z5G1b8&(B $(C1b4Y6s8i<-(B -$(C@L8F=:0!(B $(CAu0!@{(B $(CC#1b(B $(CA_?!(B $(C@V4Y4B(B $(C0M@;(B $(C8;GX(B $(CA]4O4Y(B. <Return>$(C@:(B $(CC#1b8&(B -$(C86D(4O4Y(B. - ->> $(C@LA&(B C-s$(C8&(B $(CCD<-(B $(CC#1b8&(B $(C=C@[GO=J=C?@(B. $(CC5C5Hw(B, $(CGQ(B $(C9x?!(B $(CGQ(B $(C1[@Z>?(B - 'cursor'$(C6s0m(B $(CD!8i<-(B $(C0"0"@G(B $(C9.@Z8&(B $(CD#(B $(CHD(B $(C1t9Z@L?!(B $(C>n62(B $(C@O@L(B $(C@O>n(B - $(C3*4B0!8&(B $(C@/@GGO=J=C?@(B. - $(C@LA&(B "cursor"$(C8&(B $(CGQ(B $(C9x(B $(CC#@:(B $(C0M@T4O4Y(B. ->> C-s$(C8&(B $(C4Y=C(B $(CCD<-(B $(C4Y@=?!(B $(C3*E83*4B(B "cursor"$(C8&(B $(CC#@8=J=C?@(B. ->> $(C@Z(B, $(C@LA&4B(B <Delete>$(C8&(B $(C3W(B $(C9x(B $(CCD<-(B $(C1t9Z@L0!(B $(C>n6;0T(B $(C?rAw@L4B0!8&(B - $(C:8=J=C?@(B. ->> <Return>$(C@;(B $(CCD<-(B $(CC#1b8&(B $(C3!3;=J=C?@(B. - -$(C>n62(B $(CGv;s@L(B $(C@O>n3*4BAv8&(B $(C:8>R=@4O1n(B? $(CAu0!@{(B $(CC#1b?!<-(B $(C@L8F=:4B(B $(C1W6'1nAv(B -$(CE8@ZGQ(B $(C9.@Z?-@;(B $(CC#@87A0m(B $(CGU4O4Y(B. '$(C1t9Z@L(B'$(C0!(B $(C@V4B(B $(C4Y@=(B $(C@e<R7N(B $(C0!7A8i(B -C-s$(C8&(B $(C4Y=C(B $(CD(4O4Y(B. $(C1W71(B $(C0w@L(B $(C>x@88i(B $(C@L8F=:4B(B $(C;`<R8.8&(B $(C3;0m(B $(CC#1b0!(B $(CGv@g(B -"$(C=GFP(B"$(CG_@=@;(B $(C>K7A(B $(CAV8g(B C-g$(C7N55(B $(CC#1b8&(B $(C3!3>(B $(C<v(B $(C@V0T(B $(CGU4O4Y(B. - -$(C@/@G(B: $(C>n62(B $(C?n?5(B $(CC<0h?!<-4B(B C-s$(C8&(B $(CD!8i(B $(CH-8i@;(B $(C5?0a=CDQ<-(B, $(C@L8F=:0!(B $(C>F9+(B -$(CCb7B55(B $(CGOAv(B $(C>J4B(B $(C0M@;(B $(C:<(B $(C0f?l0!(B $(C@V=@4O4Y(B. $(C@L0M@:(B "$(CHe8'(B $(CA&>n(B"$(C6s0m(B -$(C:R8.?l4B(B $(C?n?5(B $(CC<0h@G(B "$(CF/B!(B"$(C@L(B C-s$(C8&(B $(C0!7NC$<-(B $(C@L8F=:8&(B $(CEkGX(B $(C@|4^5GAv(B -$(C>J557O(B $(CGO1b(B $(C6'9.@T4O4Y(B. C-q$(C8&(B $(C4)8#8i(B $(CH-8i@L(B $(CGXA&5K4O4Y(B. $(C1W8.0m(B $(C3*<-(B -$(C@L8F=:(B $(C<38m<-@G(B "Spontaneous Entry to Incremental Search"$(C6s4B(B $(C4\?x@;(B -$(C:88i(B $(C@L71(B "$(CF/B!(B"$(C@;(B $(C>n6;0T(B $(CCk1^GR(B $(C<v(B $(C@V4B0!?!(B $(C4kGQ(B $(CA6>p@;(B $(C@P@;(B $(C<v(B -$(C@V=@4O4Y(B. - -$(CAu0!@{(B $(CC#1b(B $(C55A_?!(B <Delete>$(C8&(B $(CD!8i(B $(CC#1b(B $(C9.@Z?-@G(B $(C86Av87(B $(C9.@Z0!(B -$(CAv?vAv0m(B $(CC#1b4B(B $(C86Av87@87N(B $(CC#>R4x(B $(C0w?!(B $(C5G59>F(B $(C0!4B(B $(C0M@;(B $(C:<(B $(C<v(B -$(C@V=@4O4Y(B. $(C?98&(B $(C5i>n(B, "c"$(C0!(B $(C>n5p?!(B $(CC3@=@87N(B $(C3*?@4BAv8&(B $(C:81b(B $(C@'GX<-(B -"c"$(C8&(B $(CCF4Y0m(B $(CGU=C4Y(B. $(C@LA&(B "u"$(C8&(B $(CD!8i(B $(C1t9Z@L4B(B "cu"$(C0!(B $(CC3@=@87N(B $(C3*?@4B(B -$(C0w@87N(B $(C?rAw@O(B $(C0M@T4O4Y(B. $(C@LA&(B <Delete>$(C8&(B $(CD!=J=C?@(B. $(C1W7/8i(B $(CC#1b(B -$(C9.@Z?-?!<-(B "u"$(C0!(B $(CAv?vAv0m(B $(C1t9Z@L4B(B "c"$(C0!(B $(CC3@=(B $(C3*?B(B $(C0w@87N(B $(C5G59>F(B -$(C0)4O4Y(B. - -$(CC#1bA_?!(B $(CA&>n(B $(C9.@Z3*(B meta $(C9.@Z8&(B $(CD!8i(B ($(C?9?\0!(B $(C@VAv88(B--$(CC#1b?!<-(B $(CF/:0GQ(B -$(C@G9L8&(B $(C0.4B(B C-s$(C3*(B C-r$(C0z(B $(C00@:(B $(C9.@Z5i(B) $(CC#1b4B(B $(C3!3*9v834O4Y(B. - -C-s$(C4B(B $(C1t9Z@L@G(B $(CGv@g(B $(C@'D!(B $(C4Y@=?!(B $(C9_0_5G4B(B $(CC#1b(B $(C9.@Z?-@;(B $(CC#557O(B -$(C=C@[=CE54O4Y(B. $(C@L@|?!(B $(C3*?B(B $(C1[?y?!<-(B $(C9+>p0!8&(B $(CC#@87A8i(B C-r$(C8&(B $(CD(4O4Y(B. -C-s$(C?!(B $(C@{?k5G4B(B $(C8p5g(B $(C;gGW@:(B $(C9fGb88(B $(C9Y2n>z@;(B $(C;S(B $(C8p5N(B C-r$(C?!(B $(C@{?k5K4O4Y(B. - -* $(C4YA_(B $(CC"(B +이맥스는 글월의 앞쪽이나 뒷쪽으로 문자열을 (문자열은 연속된 문자나 +연속된 낱말입니다) 찾을 수 있습니다. 문자열을 찾는 것은 깜박이를 +움직이는 명령입니다; 깜박이가 그 문자열이 나타나는 곳으로 움직입니다. + +이맥스의 찾기 명령은 "증가적"이라는 점에서 일반 편집기의 찾기 명령과 +다릅니다. 이는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타자하고 있는 동안에 찾기가 +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+ +찾기를 시작시키는 명령은 앞쪽으로 찾기가 C-s이고 뒷쪽으로 찾기가 +C-r입니다. 그러나 잠깐 기다리십시오! 지금 이것을 시도해 보지 +마십시오. + +C-s를 치면 메아리 터에, 길잡이로 "I-search"라는 문자열이 나타나는 것을 +볼 수 있습니다. 이는 찾고자 하는 문자열이 타자되기를 기다라면서 +이맥스가 증가적 찾기 중에 있다는 것을 말해 줍니다. <Return>은 찾기를 +마칩니다. + +>> 이제 C-s를 쳐서 찾기를 시작하십시오. 천천히, 한 번에 한 글자씩 + 'cursor'라고 치면서 각각의 문자를 친 후 깜박이에 어떤 일이 일어 + 나는가를 유의하십시오. + 이제 "cursor"를 한 번 찾은 것입니다. +>> C-s를 다시 쳐서 다음에 나타나는 "cursor"를 찾으십시오. +>> 자, 이제는 <Delete>를 네 번 쳐서 깜박이가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+ 보십시오. +>> <Return>을 쳐서 찾기를 끝내십시오. + +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보았습니까? 증가적 찾기에서 이맥스는 그때까지 +타자한 문자열을 찾으려고 합니다. '깜박이'가 있는 다음 장소로 가려면 +C-s를 다시 칩니다. 그런 곳이 없으면 이맥스는 삑소리를 내고 찾기가 현재 +"실패"했음을 알려 주며 C-g로도 찾기를 끝낼 수 있게 합니다. + +유의: 어떤 운영 체계에서는 C-s를 치면 화면을 동결시켜서, 이맥스가 아무 +출력도 하지 않는 것을 볼 경우가 있습니다. 이것은 "흐름 제어"라고 +불리우는 운영 체계의 "특징"이 C-s를 가로채서 이맥스를 통해 전달되지 +않도록 하기 때문입니다. C-q를 누르면 화면이 해제됩니다. 그리고 나서 +이맥스 설명서의 "Spontaneous Entry to Incremental Search"라는 단원을 +보면 이런 "특징"을 어떻게 취급할 수 있는가에 대한 조언을 읽을 수 +있습니다. + +증가적 찾기 도중에 <Delete>를 치면 찾기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가 +지워지고 찾기는 마지막으로 찾았던 곳에 되돌아 가는 것을 볼 수 +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c"가 어디에 처음으로 나오는지를 보기 위해서 +"c"를 쳤다고 합시다. 이제 "u"를 치면 깜박이는 "cu"가 처음으로 나오는 +곳으로 움직일 것입니다. 이제 <Delete>를 치십시오. 그러면 찾기 +문자열에서 "u"가 지워지고 깜박이는 "c"가 처음 나온 곳으로 되돌아 +갑니다. + +찾기중에 제어 문자나 meta 문자를 치면 (예외가 있지만--찾기에서 특별한 +의미를 갖는 C-s나 C-r과 같은 문자들) 찾기는 끝나버립니다. + +C-s는 깜박이의 현재 위치 다음에 발견되는 찾기 문자열을 찾도록 +시작시킵니다. 이전에 나온 글월에서 무언가를 찾으려면 C-r를 칩니다. +C-s에 적용되는 모든 사항은 방향만 바뀌었을 뿐 모두 C-r에 적용됩니다. + +* 다중 창 --------- -$(C@L8F=:@G(B $(C1&Bz@:(B $(CF/B!(B $(CA_@G(B $(CGO3*7N(B $(CGQ(B $(C03(B $(C@L;s@G(B $(CC"@;(B $(C5?=C?!(B $(CH-8i?!(B $(CG%=CGR(B -$(C<v(B $(C@V4Y4B(B $(C0M@;(B $(C5i(B $(C<v(B $(C@V=@4O4Y(B. +이맥스의 괜찮은 특징 중의 하나로 한 개 이상의 창을 동시에 화면에 표시할 +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. ->> $(C1t9Z@L8&(B $(C@L(B $(CAY7N(B $(C?rAw?)<-(B C-u 0 C-l$(C@;(B $(CCD(B $(C:8=J=C?@(B. +>> 깜박이를 이 줄로 움직여서 C-u 0 C-l을 쳐 보십시오. ->> C-x 2$(C8&(B $(CCD<-(B $(CH-8i@;(B $(C5N(B $(CC"@87N(B $(C3*4)=J=C?@(B. - $(C5N(B $(CC"@:(B $(C@L(B $(CAvD'<-8&(B $(CH-8i(B $(CG%=CGU4O4Y(B. $(C1t9Z@L4B(B $(C@-(B $(CC"?!(B $(C@V=@4O4Y(B. +>> C-x 2를 쳐서 화면을 두 창으로 나누십시오. + 두 창은 이 지침서를 화면 표시합니다. 깜박이는 윗 창에 있습니다. ->> C-M-v$(C8&(B $(CCD<-(B $(C9Y4Z(B $(CC"@;(B $(C5N7g8;1b(B $(CGO=J=C?@(B. - (Meta$(C<h0!(B $(C>x@88i(B ESC C-v$(C8&(B $(CD!=J=C?@(B.) +>> C-M-v를 쳐서 바닥 창을 두루말기 하십시오. + (Meta쇠가 없으면 ESC C-v를 치십시오.) ->> C-x o ("o"$(C4B(B "other"$(C@G(B $(CC9(B $(C1[@Z(B)$(C8&(B $(CCD<-(B $(C1t9Z@L8&(B $(C9Y4Z(B $(CC"@87N(B - $(C?rAw@L=J=C?@(B. ->> $(C9Y4Z(B $(CC"?!<-(B C-v$(C?M(B M-v$(C8&(B $(C=a<-(B $(C5N7g8;1b(B $(CGO=J=C?@(B. - $(C@L(B $(CAv=C8&(B $(C@P4B(B $(C0M@:(B $(C2@4k1b(B $(CC"?!<-(B $(CGU4O4Y(B. +>> C-x o ("o"는 "other"의 첫 글자)를 쳐서 깜박이를 바닥 창으로 + 움직이십시오. +>> 바닥 창에서 C-v와 M-v를 써서 두루말기 하십시오. + 이 지시를 읽는 것은 꼭대기 창에서 합니다. ->> C-x o$(C8&(B $(C4Y=C(B $(CCD<-(B $(C1t9Z@L8&(B $(C4Y=C(B $(C2@4k1b(B $(CC"@87N(B $(C?rAw@L=J=C?@(B. - $(C2@4k1b(B $(CC"?!<-(B, $(C1t9Z@L4B(B $(C@|?!(B $(C@V4x(B $(C0w@87N(B $(C0%(B $(C0M@T4O4Y(B. +>> C-x o를 다시 쳐서 깜박이를 다시 꼭대기 창으로 움직이십시오. + 꼭대기 창에서, 깜박이는 전에 있던 곳으로 갈 것입니다. -C-x o$(C8&(B $(C0h<S(B $(C;g?kGO?)(B $(CC"5i(B $(C;g@L?!<-(B $(C>y9Y2Y1b8&(B $(CGR(B $(C<v(B $(C@V=@4O4Y(B. $(C0"0"@G(B -$(CC"@:(B $(C@ZC<@G(B $(C1t9Z@L(B $(C@'D!8&(B $(C0.0m(B $(C@VAv88(B $(CGQ(B $(CC"88@L(B $(C1t9Z@L8&(B $(C:8?)(B $(CA]4O4Y(B. -$(C8p5g(B $(CA$;s@{@N(B $(CFmA}(B $(C8m7I@:(B $(C1t9Z@L0!(B $(C@V4B(B $(CC"?!(B $(C@{?k5K4O4Y(B. $(C@L0M@;(B -"$(C<1EC5H(B $(CC"(B"$(C@L6s0m(B $(C:N8(4O4Y(B. +C-x o를 계속 사용하여 창들 사이에서 엇바꾸기를 할 수 있습니다. 각각의 +창은 자체의 깜박이 위치를 갖고 있지만 한 창만이 깜박이를 보여 줍니다. +모든 정상적인 편집 명령은 깜박이가 있는 창에 적용됩니다. 이것을 +"선택된 창"이라고 부릅니다. -C-M-v $(C8m7I@:(B $(C4Y8%(B $(CC"@;(B $(CB|A6GO8i<-(B $(C1[?y@;(B $(CFmA}GR(B $(C6'(B $(C@/?kGU4O4Y(B. -$(C1t9Z@L8&(B $(CFmA}GO0m(B $(C@V4B(B $(CC"?!(B $(C5N0m(B $(C4Y8%(B $(CC"@;(B C-M-v$(C7N(B $(C@|Ax=CE3(B $(C<v(B -$(C@V=@4O4Y(B. +C-M-v 명령은 다른 창을 참조하면서 글월을 편집할 때 유용합니다. +깜박이를 편집하고 있는 창에 두고 다른 창을 C-M-v로 전진시킬 수 +있습니다. -C-M-v$(C4B(B CONTROL-META $(C9.@Z@G(B $(CGQ(B $(C?9@T4O4Y(B. META$(C<h0!(B $(C@V@88i(B CONTROL$(C<h?M(B -META$(C<h8&(B $(C4)8%(B $(CC$(B v $(C1[<h8&(B $(CD!9G7N=a(B C-M-v$(C8&(B $(CD%(B $(C<v(B $(C@V=@4O4Y(B. CONTROL$(C<h3*(B -META$(C<h4B(B $(CE8@ZGO4B(B $(C9.@Z8&(B $(C:/0fGO4B(B $(C?*GR@;(B $(CGO1b(B $(C6'9.?!(B $(C1W(B $(C5Q(B $(CA_(B $(C9+>y@L(B -$(CC3@=?!(B $(C?@4B0!0!(B $(C9.A&5GAv(B $(C>J=@4O4Y(B. +C-M-v는 CONTROL-META 문자의 한 예입니다. META쇠가 있으면 CONTROL쇠와 +META쇠를 누른 채 v 글쇠를 치므로써 C-M-v를 칠 수 있습니다. CONTROL쇠나 +META쇠는 타자하는 문자를 변경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둘 중 무엇이 +처음에 오는가가 문제되지 않습니다. -META$(C<h0!(B $(C>x>n<-(B ESC$(C<h7N(B $(C4k?kGR(B $(C6'4B(B $(C<x<-0!(B $(C9.A&5K4O4Y(B: ESC$(C<h8&(B $(C8U@z(B -$(CD!0m(B $(CA&>n<h(B-v$(C8&(B $(CCD>_(B $(CGO8g(B $(CA&>n<h(B-ESC v$(C4B(B $(C@[5?GOAv(B $(C>J=@4O4Y(B. $(C1W(B -$(C@L@/4B(B ESC$(C@L(B $(C:/0f<h0!(B $(C>F4O6s(B $(C@ZC<7N<-(B $(C1b4I@;(B $(C0!Ax(B $(C9.@Z@L1b(B $(C6'9.@T4O4Y(B. +META쇠가 없어서 ESC쇠로 대용할 때는 순서가 문제됩니다: ESC쇠를 먼저 +치고 제어쇠-v를 쳐야 하며 제어쇠-ESC v는 작동하지 않습니다. 그 +이유는 ESC이 변경쇠가 아니라 자체로서 기능을 가진 문자이기 때문입니다. ->> C-x 1$(C@;(B ($(C@L(B $(C2@4k1b(B $(CC"?!<-(B) $(CCD<-(B $(C9Y4Z(B $(CC"@;(B $(C>x>V=J=C?@(B. +>> C-x 1을 (이 꼭대기 창에서) 쳐서 바닥 창을 없애십시오. -($(C9Y4Z(B $(CC"?!<-(B C-x 1$(C@;(B $(CD!8i(B $(C2@4k1b(B $(CC"@L(B $(C>x>nAz(B $(C0M@T4O4Y(B. $(C@L(B $(C8m7I@;(B "$(CGQ(B -$(CC"88(B $(C:8A8GO=C?@(B--$(CAv1](B $(C@[>wA_@N(B $(CC"88(B"$(C@L6s0m(B $(C;}0"GO=J=C?@(B.) +(바닥 창에서 C-x 1을 치면 꼭대기 창이 없어질 것입니다. 이 명령을 "한 +창만 보존하시오--지금 작업중인 창만"이라고 생각하십시오.) -$(C>gBJ(B $(CC"?!(B $(C00@:(B $(C;g@LD-@;(B $(CH-8i(B $(CG%=CGR(B $(CGJ?d4B(B $(C>x=@4O4Y(B. $(CGQ(B $(CC"?!<-(B C-x -C-f$(C7N(B $(CFD@O@;(B $(CC#@88i(B $(C4Y8%(B $(CC"@:(B $(C:/H-0!(B $(C>x=@4O4Y(B. $(C0"0"@G(B $(CC"?!<-(B $(CFD@O@;(B -$(C5683@{@87N(B $(CC#@;(B $(C<v(B $(C@V=@4O4Y(B. +양쪽 창에 같은 사이칸을 화면 표시할 필요는 없습니다. 한 창에서 C-x +C-f로 파일을 찾으면 다른 창은 변화가 없습니다. 각각의 창에서 파일을 +독립적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. -$(C5N(B $(CC"@;(B $(C;g?kGO?)(B $(C4Y8%(B $(C3;?k@;(B $(CH-8i(B $(CG%=CGO4B(B $(C6G(B $(C4Y8%(B $(C9f9}@L(B $(C@V=@4O4Y(B: +두 창을 사용하여 다른 내용을 화면 표시하는 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: ->> C-x 4 C-f$(C8&(B $(CD!0m(B $(CFD@O(B $(C@L8'(B $(CGO3*8&(B $(CCD(B $(C:8=J=C?@(B. - <Return>$(C@87N(B $(C3!3;=J=C?@(B. $(C1W(B $(CFD@O@L(B $(C9Y4Z(B $(CC"?!(B $(C3*E83*4B(B $(C0M@;(B - $(C:8=J=C?@(B. $(C1t9Z@L55(B $(C1W(B $(C0w@87N(B $(C?rAw@T4O4Y(B. +>> C-x 4 C-f를 치고 파일 이름 하나를 쳐 보십시오. + <Return>으로 끝내십시오. 그 파일이 바닥 창에 나타나는 것을 + 보십시오. 깜박이도 그 곳으로 움직입니다. ->> C-x o$(C8&(B $(CCD<-(B $(C4Y=C(B $(C2@4k1b(B $(CC"@87N(B $(C59>F(B $(C0!<-(B C-x 1$(C7N(B $(C9Y4Z(B $(CC"@;(B - $(CAv?l=J=C?@(B. +>> C-x o를 쳐서 다시 꼭대기 창으로 돌아 가서 C-x 1로 바닥 창을 + 지우십시오. -* $(CH81M@{(B $(CFmA}(B $(C<vAX(B +* 회귀적 편집 수준 ------------------ -$(C0#H$(B "$(CH81M@{(B $(CFmA}(B $(C<vAX(B"$(C@L6s0m(B (recursive editing level) $(C:R8.?l4B(B $(C0M?!(B -$(C:@BxGO0T(B $(C5K4O4Y(B. $(C9f=D(B $(CAY?!<-(B $(CAV(B $(C9f=D(B $(C@L8'@G(B $(C>U5Z?!(B $(C@V4B(B $(C<R0}H#(B $(C9.@Z8&(B -$(C4k0}H#(B $(C9.@Z0!(B $(C5Q7/(B $(C=N0m(B $(C@V@88i(B $(C@L8&(B $(C>K(B $(C<v(B $(C@V=@4O4Y(B. $(C?98&(B $(C5i>n(B, -(Fundamental) $(C4k=E?!(B [(Fundamental)]$(C@L6s0m(B $(CG%=C5I(B $(C6'(B $(C@T4O4Y(B. +간혹 "회귀적 편집 수준"이라고 (recursive editing level) 불리우는 것에 +봉착하게 됩니다. 방식 줄에서 주 방식 이름의 앞뒤에 있는 소괄호 문자를 +대괄호 문자가 둘러 싸고 있으면 이를 알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+(Fundamental) 대신에 [(Fundamental)]이라고 표시될 때 입니다. -$(C@L(B $(CH81M@{(B $(CFmA}(B $(C<vAX?!<-(B $(C9~>n(B $(C3*1b(B $(C@'GX<-4B(B ESC ESC ESC$(C@;(B $(CD(4O4Y(B. -$(C@L(B $(C0M@:(B $(C4Y8q@{(B "$(C9~>n3*1b(B" $(C8m7I@T4O4Y(B. $(CC_0!5H(B $(CC"@;(B $(C>x>V0E3*(B $(C@[@:(B -$(C;g@LD-?!<-(B $(C3*?@1b(B $(C@'GX<-55(B $(C;g?k5I(B $(C<v(B $(C@V=@4O4Y(B. +이 회귀적 편집 수준에서 벗어 나기 위해서는 ESC ESC ESC을 칩니다. +이 것은 다목적 "벗어나기" 명령입니다. 추가된 창을 없애거나 작은 +사이칸에서 나오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. ->> M-x$(C8&(B $(CCD<-(B $(C@[@:(B $(C;g@LD-@87N(B $(C5i>n(B $(C0!=J=C?@(B; $(C1W8.0m4B(B ESC ESC ESC$(C@;(B - $(CCD<-(B $(C:|A.(B $(C3*?@=J=C?@(B. +>> M-x를 쳐서 작은 사이칸으로 들어 가십시오; 그리고는 ESC ESC ESC을 + 쳐서 빠져 나오십시오. -C-g$(C8&(B $(C=a<-4B(B $(CH81M@{(B $(CFmA}(B $(C<vAX?!<-(B $(C9~>n3/(B $(C<v(B $(C>x=@4O4Y(B. $(C1W(B $(C@L@/4B(B C-g$(C0!(B -$(CH81M@{(B $(CFmA}(B $(C<vAX(B $(C@L3;?!<-(B $(C8m7I@L3*(B $(C@N<v8&(B $(CCk<RGO1b(B $(C@'GX(B $(C;g?k5G1b(B -$(C6'9.@T4O4Y(B. +C-g를 써서는 회귀적 편집 수준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. 그 이유는 C-g가 +회귀적 편집 수준 이내에서 명령이나 인수를 취소하기 위해 사용되기 +때문입니다. -* $(C4u(B $(C89@:(B $(C55?r8;(B $(C>r1b(B +* 더 많은 도움말 얻기 --------------------- -$(C@L(B $(CAvD'<-?!<-4B(B $(C@L8F=:(B $(C;g?k@;(B $(C=C@[GO1b?!(B $(CCf:PGQ(B $(CA$:88&(B $(CA&0xGO7A0m(B -$(C3k7BGO?4=@4O4Y(B. $(C@L8F=:?!4B(B $(C3J9+3*(B $(C89@:(B $(C1b4I@L(B $(C@V>n<-(B $(C?)1b<-4B(B $(C8p5N(B $(C4Y(B -$(C<38mGR(B $(C<v(B $(C>x=@4O4Y(B. $(C1W7/3*(B, $(C@L8F=:?!4B(B $(C4Y8%(B $(C89@:(B $(C@/?kGQ(B $(CF/B!5i@L(B -$(C@V>n<-(B $(C@L8F=:?!(B $(C4kGX<-(B $(C4u(B $(C89@L(B $(C9h?l0m(B $(C=M@;(B $(C0M(B $(C@T4O4Y(B. $(C@L8F=:4B(B $(C@L8F=:(B -$(C8m7I?!(B $(C4kGQ(B $(C9.<-H-8&(B $(C@P@;(B $(C<v(B $(C@V4B(B $(C8m7I@;(B $(CA&0xGU4O4Y(B. $(C@L(B "$(C55?r8;(B" -$(C8m7I5i@:(B $(C8p5N(B $(CA&>n<h(B-h$(C7N(B $(C=C@[GO8g(B $(C@L(B $(C9.@Z8&(B "$(C55?r8;(B $(C9.@Z(B"$(C6s0m(B -$(C:N8(4O4Y(B. +이 지침서에서는 이맥스 사용을 시작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+노력하였습니다. 이맥스에는 너무나 많은 기능이 있어서 여기서는 모두 다 +설명할 수 없습니다. 그러나, 이맥스에는 다른 많은 유용한 특징들이 +있어서 이맥스에 대해서 더 많이 배우고 싶을 것 입니다. 이맥스는 이맥스 +명령에 대한 문서화를 읽을 수 있는 명령을 제공합니다. 이 "도움말" +명령들은 모두 제어쇠-h로 시작하며 이 문자를 "도움말 문자"라고 +부릅니다. -$(C55?r8;(B $(CF/B!@;(B $(C;g?kGO7A8i(B C-h $(C9.@Z8&(B $(CD!0m(B $(C?xGO4B(B $(CA>7y@G(B $(C55?r8;@;(B -$(C0!8#E04B(B $(C9.@Z8&(B $(CD(4O4Y(B. $(C@|Gt(B $(C;}0"@L(B $(C>J3*8i(B C-h ?$(C8&(B $(CCD<-(B, $(C@L8F=:0!(B -$(C>n62(B $(CA>7y@G(B $(C55?r8;@;(B $(CA&0xGR(B $(C<v(B $(C@V4B0!8&(B $(C:8?)(B $(CAV557O(B $(CGO=J=C?@(B. C-h$(C8&(B -$(CD#(B $(CHD(B $(C>F9+71(B $(C55?r8;@L(B $(CGJ?d>x4Y0m(B $(CFG4\5G8i(B C-g$(C8&(B $(CCD<-(B $(CCk<RGO=J=C?@(B. +도움말 특징을 사용하려면 C-h 문자를 치고 원하는 종류의 도움말을 +가르키는 문자를 칩니다. 전혀 생각이 않나면 C-h ?를 쳐서, 이맥스가 +어떤 종류의 도움말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보여 주도록 하십시오. C-h를 +친 후 아무런 도움말이 필요없다고 판단되면 C-g를 쳐서 취소하십시오. -($(C>n62(B $(C0w?!<-4B(B C-h$(C@G(B $(C@G9L8&(B $(C:/0f=CDQ(B $(C3u=@4O4Y(B. $(C1W5i@L(B $(C8p5g(B $(C;g?k@Z?!0T(B -$(C@L785m(B $(C@O0}@{@N(B $(CA6C38&(B $(CCkGX<-4B(B $(C>J5G4B(B $(C0M@L9G7N(B $(C@L0M@:(B $(C?n?5(B $(CC<0h(B -$(C0|8.@Z?!0T(B $(C:RFrGR(B $(C<v(B $(C@V4B(B $(CCf:PGQ(B $(C1Y0E0!(B $(C5K4O4Y(B. C-h$(C0!(B $(CH-8i@G(B $(C9Y4Z?!(B -$(C55?r(B $(C>K828;@;(B $(CH-8i(B $(CG%=CGOAv(B $(C>J@88i(B $(C:RFr@L(B $(CGX0a5I(B $(C6'1nAv4B(B F1 $(C1[<h3*(B -M-x help <Return>$(C@;(B $(C4k=E(B $(C;g?kGO557O(B $(CGO=J=C?@(B.) +(어떤 곳에서는 C-h의 의미를 변경시켜 놓습니다. 그들이 모든 사용자에게 +이렇듯 일괄적인 조처를 취해서는 않되는 것이므로 이것은 운영 체계 +관리자에게 불평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됩니다. C-h가 화면의 바닥에 +도움 알림말을 화면 표시하지 않으면 불평이 해결될 때까지는 F1 글쇠나 +M-x help <Return>을 대신 사용하도록 하십시오.) -$(C0!@e(B $(C1b:;@{@N(B $(C55?r8;(B $(CF/B!@:(B C-h c $(C@T4O4Y(B. C-h$(C8&(B $(CD!0m(B $(C9.@Z(B c$(C8&(B $(CD#(B $(CHD(B -$(C8m7I(B $(C9.@Z3*(B $(C8m7I(B $(C<xBw(B(sequence)$(C8&(B $(CD!=J=C?@(B; $(C1W7/8i(B $(C@L8F=:4B(B $(C1W(B $(C8m7I?!(B -$(C4kGQ(B $(C>FAV(B $(C0#4\GQ(B $(C<38m@;(B $(CH-8i(B $(CG%=CGU4O4Y(B. +가장 기본적인 도움말 특징은 C-h c 입니다. C-h를 치고 문자 c를 친 후 +명령 문자나 명령 순차(sequence)를 치십시오; 그러면 이맥스는 그 명령에 +대한 아주 간단한 설명을 화면 표시합니다. ->> C-h c $(CA&>n<h(B-p$(C8&(B $(CD!=J=C?@(B. - $(C>K828;@:(B $(C4Y@=0z(B $(C00@:(B $(C=D@L>n>_(B $(CGU4O4Y(B. +>> C-h c 제어쇠-p를 치십시오. + 알림말은 다음과 같은 식이어야 합니다. C-p runs the command previous-line -$(C@L4B(B "$(C1b4I@G(B $(C@L8'(B"$(C@;(B $(C8;GX(B $(CA]4O4Y(B. $(C1b4I(B $(C@L8'@:(B $(C@L8F=:8&(B $(C@Z1b(B $(CCkGb?!(B -$(C8B0T(B $(C>20E3*(B $(CH.@eGR(B $(C6'(B $(CAV7N(B $(C;g?k5K4O4Y(B. $(C1W7/3*(B $(C1b4I(B $(C@L8'5i@:(B $(C1W(B $(C8m7I@L(B -$(C>n62(B $(C@O@;(B $(CGO4BAv8&(B $(C>K(B $(C<v(B $(C@V557O(B $(CA$GXAv1b(B $(C6'9.?!(B $(C1W5i@:(B $(C>FAV(B $(C0#4\GQ(B -$(C9.<-H-7N55(B -- $(C?)EB1nAv(B $(C9h?n(B $(C8m7I5i@;(B $(C1b>oGO4B5%(B $(CCf:PGR(B $(CA$557N(B -- -$(C;g?k5I(B $(C<v(B $(C@V=@4O4Y(B. +이는 "기능의 이름"을 말해 줍니다. 기능 이름은 이맥스를 자기 취향에 +맞게 쓰거나 확장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. 그러나 기능 이름들은 그 명령이 +어떤 일을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정해지기 때문에 그들은 아주 간단한 +문서화로도 -- 여태까지 배운 명령들을 기억하는데 충분할 정도로 -- +사용될 수 있습니다. -C-x C-s$(C?M(B (META$(C<h3*(B EDIT$(C<h(B $(CH$@:(B $(C13C<<h0!(B $(C@V@88i(B) <ESC>v$(C?M(B $(C00@:(B $(C4YA_(B -$(C9.@Z(B $(C8m7I5i55(B C-h c$(C@G(B $(C4Y@=?!(B $(C?C(B $(C<v(B $(C@V=@4O4Y(B. +C-x C-s와 (META쇠나 EDIT쇠 혹은 교체쇠가 있으면) <ESC>v와 같은 다중 +문자 명령들도 C-h c의 다음에 올 수 있습니다. -$(CGQ(B $(C8m7I?!(B $(C4kGX(B $(C4u(B $(C@Z<<GQ(B $(CA$:88&(B $(C>r1b(B $(C@'GX<-4B(B C-h c $(C4k=E?!(B C-h k$(C8&(B -$(C;g?kGO=J=C?@(B. +한 명령에 대해 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C-h c 대신에 C-h k를 +사용하십시오. ->> C-h k $(CA&>n<h(B-p$(C8&(B $(CCD(B $(C:8=J=C?@(B. +>> C-h k 제어쇠-p를 쳐 보십시오. -$(C@L4B(B $(C1W(B $(C1b4I@G(B $(C@L8'0z(B $(CGT22(B $(C1W(B $(C9.<-H-8&(B $(C@L8F=:(B $(CC"?!(B $(CH-8i(B $(CG%=CGU4O4Y(B. -$(CCb7B5H(B $(C0M@;(B $(C4Y(B $(C@P>z@88i(B C-x 1$(C7N(B $(C55?r8;(B $(C1[?y@;(B $(C>x>[4O4Y(B. $(C4g@e?!(B $(C>x>Y(B -$(CGJ?d4B(B $(C>x=@4O4Y(B. $(C55?r8;(B $(C1[?y@;(B $(CB|A6GO8i<-(B $(CFmA}@;(B $(CGO4Y0!(B C-x 1$(C@;(B $(CCD55(B -$(C5K4O4Y(B. +이는 그 기능의 이름과 함께 그 문서화를 이맥스 창에 화면 표시합니다. +출력된 것을 다 읽었으면 C-x 1로 도움말 글월을 없앱니다. 당장에 없앨 +필요는 없습니다. 도움말 글월을 참조하면서 편집을 하다가 C-x 1을 쳐도 +됩니다. -$(C?)1b?!(B $(C6G4Y8%(B $(C@/?kGQ(B C-h$(C@G(B $(CC_0!(B $(C<1EC@L(B $(C@V=@4O4Y(B: +여기에 또다른 유용한 C-h의 추가 선택이 있습니다: - C-h f $(C1b4I(B $(C1b<zGO1b(B. $(C1b4I(B $(C@L8'@;(B $(CD(4O4Y(B. + C-h f 기능 기술하기. 기능 이름을 칩니다. ->> C-h f previous-line<Return>$(C@;(B $(CCD(B $(C:8=J=C?@(B. - $(C1W7/8i(B $(C@L8F=:0!(B C-p $(C8m7I@L(B $(CA&0xGO4B(B $(C1b4I?!(B $(C4kGQ(B $(C8p5g(B $(CA$:88&(B $(C@N<bGR(B - $(C0M@T4O4Y(B. +>> C-h f previous-line<Return>을 쳐 보십시오. + 그러면 이맥스가 C-p 명령이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모든 정보를 인쇄할 + 것입니다. -$(C@/;gGQ(B $(C8m7I@87N(B C-h v $(C0!(B $(C@V@88g(B $(C@L4B(B $(C@L8F=:@G(B $(CG`5?@;(B $(C@{@}GO0T(B $(CGO4B5%(B -$(C;g?k5G4B(B $(C:/<v0*?!(B $(C4kGQ(B $(C9.<-H-8&(B $(C:8?)AX4Y(B. +유사한 명령으로 C-h v 가 있으며 이는 이맥스의 행동을 적절하게 하는데 +사용되는 변수값에 대한 문서화를 보여준다. - C-h a $(C8m7I(B $(CGY=I>n(B(apropos). $(CGY=I>n8&(B $(CD!8i(B $(C@L8F=:0!(B $(C@L(B - $(CGY=I>n0!(B $(C5i>n(B $(C@V4B(B $(C8p5g(B $(C8m7I5i@G(B $(C8q7O@;(B $(C@[<:GR(B - $(C0M@T4O4Y(B. $(C@L(B $(C8m7I5i@:(B $(C8p5N(B Meta$(C<h(B-x$(C7N(B $(C:N8&(B $(C<v(B - $(C@V=@4O4Y(B. $(C>n62(B $(C8m7I5i?!(B $(C4kGX<-4B(B $(C00@:(B $(C8m7I@;(B $(C=GG`GO4B(B, - $(CGQ5N03@G(B $(C9.@Z7N(B $(C5H(B $(C<xBw?!(B $(C4kGQ(B $(C8q7O55(B $(C8m7I(B $(CGY=I>n0!(B - $(C@[<:GU4O4Y(B. + C-h a 명령 핵심어(apropos). 핵심어를 치면 이맥스가 이 + 핵심어가 들어 있는 모든 명령들의 목록을 작성할 + 것입니다. 이 명령들은 모두 Meta쇠-x로 부를 수 + 있습니다. 어떤 명령들에 대해서는 같은 명령을 실행하는, + 한두개의 문자로 된 순차에 대한 목록도 명령 핵심어가 + 작성합니다. ->> C-h a file<Return>$(C@;(B $(CCD(B $(C:8=J=C?@(B. +>> C-h a file<Return>을 쳐 보십시오. -$(C1W7/8i(B $(C@L8'?!(B "file"$(C@L(B $(C5i>n(B $(C@V4B(B $(C8p5g(B M-x $(C8m7I5i@G(B $(C8q7O@L(B $(C@[<:5G?)(B -$(C4Y8%(B $(CC"?!(B $(CH-8i(B $(CG%=C5K4O4Y(B. find-file$(C0z(B $(C00@:(B $(C8m7I5i?!4B(B C-x C-f$(C?M(B $(C00@:(B -$(C9.@Z(B $(C8m7I@G(B $(C8q7O@L(B $(CGX4gGO4B(B $(C8m7I@G(B $(C?7?!(B $(C@[<:5G>n(B $(C@V4B(B $(C0M@;(B $(C:<(B $(C<v(B $(C@V@;(B -$(C0M@T4O4Y(B. +그러면 이름에 "file"이 들어 있는 모든 M-x 명령들의 목록이 작성되여 +다른 창에 화면 표시됩니다. find-file과 같은 명령들에는 C-x C-f와 같은 +문자 명령의 목록이 해당하는 명령의 옆에 작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+것입니다. ->> C-M-v$(C8&(B $(CCD<-(B $(C55?r8;(B $(CC"@;(B $(C5N7g8;1b(B $(CGO=J=C?@(B. $(C@L8&(B $(C8n(B $(C9x(B $(CGO=J=C?@(B. +>> C-M-v를 쳐서 도움말 창을 두루말기 하십시오. 이를 몇 번 하십시오. ->> C-x 1$(C@;(B $(CCD<-(B $(C55?r8;(B $(CC"@;(B $(CAv?l=J=C?@(B. +>> C-x 1을 쳐서 도움말 창을 지우십시오. - C-h i $(C?B6s@N(B $(C<38m<-8&(B $(C@P1b(B ($(CAo(B Info). $(C@L(B $(C8m7I@:(B - `*info*'$(C6s4B(B $(CF/:0GQ(B $(C;g@LD-?!<-(B $(C=C=:E[?!(B $(C<3D!5H(B - $(C2Y7/9L@G(B $(C?B6s@N(B $(C<38m<-8&(B $(C:8?)A]4O4Y(B. m emacs - <$(C:91M<h(B>$(C8&(B $(CD!8i(B $(C@L8F=:(B $(C<38m<-8&(B $(C@P@;(B $(C<v(B $(C@V=@4O4Y(B. - $(C@|?!(B Info$(C8&(B $(C@P>n(B $(C:;(B $(C@{@L(B $(C>x@88i(B ?$(C8&(B $(CD!=J=C?@(B. $(C1W7/8i(B - $(C@L8F=:0!(B Info $(C9f=D@L(B $(C>n62(B $(C1b4I@L(B $(C@V4B(B $(CAv8&(B $(C>H3;GO4B(B - $(C?)G`@L(B $(C=C@[5K4O4Y(B. $(C@L(B $(CAvD'<-8&(B $(C@|:N(B $(C86D!8i(B $(C@L8F=:@G(B - Info $(C<38m<-8&(B $(CAV5H(B $(C9.<-H-7N(B $(C;}0"GX<-(B $(C@P>n>_(B $(CGU4O4Y(B. + C-h i 온라인 설명서를 읽기 (즉 Info). 이 명령은 + `*info*'라는 특별한 사이칸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+ 꾸러미의 온라인 설명서를 보여줍니다. m emacs + <복귀쇠>를 치면 이맥스 설명서를 읽을 수 있습니다. + 전에 Info를 읽어 본 적이 없으면 ?를 치십시오. 그러면 + 이맥스가 Info 방식이 어떤 기능이 있는 지를 안내하는 + 여행이 시작됩니다. 이 지침서를 전부 마치면 이맥스의 + Info 설명서를 주된 문서화로 생각해서 읽어야 합니다. -* $(C0a7P(B +* 결론 ------ -$(C@L8F=:8&(B $(C?O@|Hw(B $(C3*0!1b(B $(C@'GX<-4B(B C-x C-c$(C8&(B $(C>44Y4B(B $(C;g=G@;(B $(C1b>oGO=J=C?@(B. -$(C@O=C@{@87N(B $(CA60!:q7N(B $(C3*0!<-(B $(CHD?!(B $(C4Y=C(B $(C@L8F=:?!(B $(C5G59>F(B $(C?C(B $(C<v(B $(C@V1b(B -$(C@'GX<-4B(B C-z$(C8&(B $(C;g?kGO=J=C?@(B. +이맥스를 완전히 나가기 위해서는 C-x C-c를 쓴다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. +일시적으로 조가비로 나가서 후에 다시 이맥스에 되돌아 올 수 있기 +위해서는 C-z를 사용하십시오. -$(C@L(B $(CAvD'<-4B(B $(C;u7N?n(B $(C;g?k@Z5i(B $(C8p5N0!(B $(C@LGXGR(B $(C<v(B $(C@V557O(B $(C885i>nA3@89G7N(B -$(C:R:P8mGQ(B $(C;gGW@L(B $(C9_0_5G8i(B $(C>I>F<-(B $(C@Z1b(B $(C@Z=E@;(B $(CE?GOAv(B $(C8;0m(B $(C:RFrGO=J=C?@(B! +이 지침서는 새로운 사용자들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므로 +불분명한 사항이 발견되면 앉아서 자기 자신을 탓하지 말고 불평하십시오! -$(C:9;g(B $(CA60G(B +복사 조건 --------- -$(C@L(B $(CAvD'<-4B(B Stuart Cracraft$(C>>0!(B $(C@L8F=:(B $(C1Y?x(B $(C@Z7a8&(B $(C@'GX(B $(C>4(B, $(C1d(B $(C@L8F=:(B -$(CAvD'<-8&(B $(C8pC<7N(B $(CGO?)(B $(C@[<:5H(B $(C0M@L4Y(B. +이 지침서는 Stuart Cracraft씨가 이맥스 근원 자료를 위해 쓴, 긴 이맥스 +지침서를 모체로 하여 작성된 것이다. -GNU $(C@L8F=:?M(B $(C00@L(B $(C@L(B $(CAvD'<-(B $(CFG@:(B $(C@z@[1G@L(B $(C@V@88g(B $(CF/A$GQ(B $(CA60G@;(B $(C88A7GR(B -$(C6'?!(B $(C:9;g:;@;(B $(C9hFwGR(B $(C<v(B $(C@V4B(B $(CGc0!8&(B $(C0.0m(B $(C3*?B(B $(C0M@L4Y(B: +GNU 이맥스와 같이 이 지침서 판은 저작권이 있으며 특정한 조건을 만족할 +때에 복사본을 배포할 수 있는 허가를 갖고 나온 것이다: Copyright (C) 1985, 1996, 2001-2013 Free Software Foundation, Inc. - $(C@L(B $(C9.<-4B(B $(C@L(B $(C@z@[1G(B $(C0x0m?M(B $(CGc?k(B $(C0x0m0!(B $(C1W4k7N(B $(C@/Av5G0m(B, $(C9hFw@Z0!(B - $(C<vCk@Z?!0T(B $(C@L(B $(C0x0m?!(B $(C5{6s(B $(CGc?k5G4B(B $(C0MC373(B $(C6G(B $(C@g:P9hGO4B(B $(C0M@;(B - $(CGc?kGO4B(B $(CA60G@87N(B, $(C>n62(B $(C8EC<7N5gAv(B $(C9^@:(B $(C1W4k7N8&(B $(C:9;gGO0E3*(B - $(C:9;g:;@L(B $(C4Y8%(B $(C@L?!0T(B $(C9hFw5G4B(B $(C0M@L(B $(CGc?k5H4Y(B. + 이 문서는 이 저작권 공고와 허용 공고가 그대로 유지되고, 배포자가 + 수취자에게 이 공고에 따라 허용되는 것처럼 또 재분배하는 것을 + 허용하는 조건으로, 어떤 매체로든지 받은 그대로를 복사하거나 + 복사본이 다른 이에게 배포되는 것이 허용된다. - $(C@L(B $(C9.<-@G(B $(C<vA$FG@L3*(B $(C<vA$FG@G(B $(C@O:N:P@:(B $(C@'@G(B $(CA60G0z(B $(CGT22(B, $(C6GGQ(B $(C4)0!(B - $(C86Av87@87N(B $(C:/0fG_4BAv8&(B $(C4+?!(B $(C6g0T(B $(C3*E83=4Y4B(B $(CA60G@87N(B $(C9hFw5G4B(B $(C0M@L(B - $(CGc?k5H4Y(B. + 이 문서의 수정판이나 수정판의 일부분은 위의 조건과 함께, 또한 누가 + 마지막으로 변경했는지를 눈에 띄게 나타낸다는 조건으로 배포되는 것이 + 허용된다. -$(C@L8F=:(B $(C@ZC<8&(B $(C:9;gGO4B(B $(C0M@:(B $(CA;(B $(C4u(B $(C:9@bGOAv88(B $(C00@:(B $(C3;?k@T4O4Y(B. -COPYING$(C@L6s4B(B $(CFD@O@;(B $(C@P0m(B $(C3-(B $(CHD?!(B GNU $(C@L8F=:@G(B $(C:9;g:;@;(B $(CD#18?!0T(B -$(CAV=J=C?@(B. $(C@Z@/(B $(C<RGAF.?~>n8&(B $(C>20m(B $(C885i0m(B $(C0x@/GT@87N=a(B $(C<RGAF.?~>n(B -$(C9fGX8&(B ("$(C<R@/1G(B") $(C1Y@}GO4B5%(B $(C55?s=C4Y(B. +이맥스 자체를 복사하는 것은 좀 더 복잡하지만 같은 내용입니다. +COPYING이라는 파일을 읽고 난 후에 GNU 이맥스의 복사본을 친구에게 +주십시오. 자유 소프트웨어를 쓰고 만들고 공유함으로써 소프트웨어 +방해를 ("소유권") 근절하는데 도웁시다. ;;; Local Variables: -;;; coding: iso-2022-7bit +;;; coding: utf-8 ;;; End: |